람보르기니 (Automobili-Lamborghini S.p.A)
'람보르기니(Lamborghini)'는 이탈리아의 유명 스포츠카 제조업체이다. 이탈리아에는 세계적인 슈퍼카 제조사가 여러 곳이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곳이 람보르기니와 페라리이다. 람보르기니와 페라리는 세기의 라이벌이라고 할 수 있다. 람보르기니 제 1의 사칙이 '페라리보다 빠른 자동차를 만들자'일 정도이니 말이다. 페라리의 엠블럼에 말이 들어간다면, 람보르기니의 엠블럼에는 황소가 들어간다. 지금부터 람보르기니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람보르기니의 정식명칭은 Automobili Lamborghini S.p.A.이지만 대부분 줄여서 람보르기니(Lamborghini)로 부른다. 람보르기니의 설립자인 '페루치오 람보르기니(Ferruccio Lamborghini)'는 원래 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군사용품을 모아 트랙터를 만드는 사람이었다. 그가 세운 페루치오 람보르기니 트라토리(Ferruccio Lamborghini Trattori)는 이탈리아 최대 규모의 농업기계 제조회사가 되었다. 페루치오의 트랙터는 '절대 고장이 나지 않는' 특징이 있었다. 그는 트랙터 외에도 에어컨이나 가스히터 등을 개발했다. 큰 돈을 모은 페루치오는 마세라티, 알파 로미오, 벤츠 등을 몰며 자동차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 특히 페라리를 좋아해서 페라리의 슈퍼카를 몇 대나 소유했다. 하지만 페라리는 특유의 소음과 잦은 클러치 결함으로 인해 고객들의 불만이 있었다. 페루치오는 자신이 소유한 페라리 250GT가 자꾸 고장이 나자, 직접 분해해서 고장의 이유를 찾기로 했다. 당시 페라리 250GT에는 페루치오의 트랙터와 같은 클러치가 장착되어 있었다. 페루치오는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를 페라리의 창업자인 엔초 페라리와 토론하기를 원했다. 하지만 당시 페라리는 포뮬라원에서 연승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엔초 페라리의 자만심은 매우 높았다. 엔초 페라리는 페루치오가 자신과 토론할 만한 급이 되지 못한다고 생각해 페루치오를 무시했다. 이에 자극을 받은 페루치오는 직접 스포츠카를 제작하기로 결심한다. 페루치오는 1962년 당시에 '마세라티'나 '알파 로메오' 등에서 활약하던 차동차 엔지니어와 디자이너들을 고용해 우수한 성능의 엔진을 개발했다. 이후 1963년에 페루치오는 이탈리아 볼로냐에 자동차 공장을 설립했다. 다음 해에 람보르기니는 첫 모델인 람보르기니 350GT를 생산했다. 사실 350GT보다 먼저 만들어진 모델이 있었는데, 바로 350GTV였다. 하지만 350GTV는 토리노모터쇼에 맞춰 제작되었으나, 엔진이 제때 만들어지지 않았다. 결국 토리노모터쇼에는 엔진이 없는 350GTV이 출품되었다. 언론의 호평을 받았으나 이러한 상황 자체가 페루치오는 마음에 들지 않았고, 결국 1년 후에 새로운 모델인 350GT를 만들어냈던 것이다. 350GT는 그 당시 페라리에서 판매하고 있던 많은 차량들보다 뛰어나다는 평을 받았다. 이 모델은 2년 동안 120대를 판매하기도 했다. 2년 뒤, 람보르기니는 새로운 모델을 출시했는데 바로 람보르기니 미우라(Miura)였다. 제네바모터쇼에서 발표된 이 제품은 시속 280km까지 달릴 수 있었기 때문에 당시 세계 최고속도의 스포츠카가 되었다. 이 기록은 8년 뒤, 1974년 페루치오가 개발한 람보르기니 카운타크(Countach)가 깼다. 카운타크는 최고 시속이 300km에 이르는 엄청난 자동차였다. 하지만 이러한 기록에도 불구하고 1970년대 경제불황이 심해지면서 람보르기니는 경영난에 시달리게 되었다. 결국 자동차사업에 흥미를 잃은 페루치오는 1972년, 1974년에 걸쳐 람보르기니를 매각했다. 람보르기니는 스위스의 사업가인 조르주 앙리 로세티와 장 끌로드 밈란을 거쳐 크라이슬러에 인수되었다가, 마침내 1998년에 폭스바겐 그룹의 아우디 산하로 들어가게 되었다. 페루치오 람보르기니는 람보르기니를 매각한 후, 자신의 이름을 딴 포도농장을 운영하면서 살았다.
람보르기니의 엠블럼은 황소 모양인데, 이는 페루치오 람보르기니의 별자리가 황소자리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덕분에 람보르기니의 대표 모델들은 모두 투우용 칼이나 투우사의 이름 등 투우와 관련된 모델명을 가지고 있다. 람보르기니의 차량은 모두 미드십 엔진 구조(MR)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트렁크가 전부 앞에 있다. 람보르기니의 대표적인 모델로는 미우라, 카운타크, 디아블로(Diablo), 무르시엘라고(Murcielago), 가야르도(Gallardo), 쿤타치(Countach), 한정판이었던 레벤톤(Reventon) 등이 있으며 이 모델을은 현재 전부 단종되었다. 현재는 아벤타도르(Aventador)와 우라칸(Huracan)을 생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