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저 (Pfizer Inc.)
파이저그룹은 미국의 유명 제약회사이다. 발기부전 치료제인 비아그라를 발명한 회사로도 유명하다. 비아그라 덕분에 수컷 바다표범과 순록의 포획량을 감소시켰다는 연구결과도 있는데, 이는 파이저그룹이 의도하든 의도하지 않았든 지구 생태계 보호에 도움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파이저그룹은 '인류와 동물을 위한' 제약회사라고 자신을 소개한다. 지금부터 파이저그룹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로 하겠다.
파이저그룹은 독일계 미국인인 찰스 파이저(Charles Pfizer)와 찰스 에르하르트(Charles Erhart)가 세운 기업이다. 독일에서 미국으로 건너 온 찰스 파이저와 찰스 에르하르트는 사촌지간이었는데, 이 둘이 뉴욕 브루클린에 '찰스 파이저 앤드 컴퍼니(Charles Pfizer and Company)'를 설립했다. 1849년에 설립된 이 찰스 파이저 앤드 컴퍼니가 바로 파이저그룹의 시초라고 할 수 있다. 찰스 파이저는 독일에서 원래 약제사 수련생으로 있으면서 화학을 공부했다. 여기에 제빵 기술을 배운 찰스 에어하트가 더해져, 찰스 파이저 앤드 컴퍼니는 정제약품을 개발하게 되었다. 찰스 파이저 앤드 컴퍼니에서 처음 개발한 제품은 바로 쓴 맛이 나지 않는 구충제인 산토닌(santonin)이었다. 산토닌으로 성공을 거둔 파이저는 1862년에 타르타르 산과 타르타르 크림을 미국 최초로 생산했다. 파이저가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하기에 큰 역할을 한 것은 1880년에 개발된 구연산이었다. 파이저는 레몬과 라임의 수입농축액을 원료로 한 구연산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고, 이를 음료업체에 납품했다. 구연산은 파이저의 주요 생산품목이 되었으며, 파이저를 큰 성공으로 이끌었다.
1928년 알렉산더 플레밍(Alexander Fleming)은 페니실리움(Fenicillium)에 속하는 푸른곰팡이에서 얻은 화학물질이 박테리아로 발생한 병을 치료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플레밍은 이 화학물질을 페니실린(Penicillin)이라고 이름지었다. 하지만 알렉산더 플레밍이 페니실린을 발견한 당시에는 페니실린을 다량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 없었다. 또한 페니실린이 몸에 흡수된 후, 쉽게 배설이 되버렸기 때문에 질병 치료에 이용하기엔 어려움이 있었다. 1941년에 파이저의 존 데이븐포트(John Davenport)와 고든 크레그월(Gorden Cragwall)이 페니실린 관련 심포지움에 참가했다. 이후 파이저는 3년 동안 회사의 모든 자원을 페니실린이 실제 치료에 사용될 수 있도록 만드는데 쏟아 붓는 모험을 했다. 당시 2차 세계대전으로 전 세계는 대량의 페니실린이 필요한 상태였다. 파이저는 페니실린을 효과적으로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고, 미국정부는 이러한 파이저의 기술을 이용한 항생제 생산을 허가했다. 여러 업체에서 파이저의 공정을 따라했지만, 파이저의 기술력을 따라갈 수는 없었다. 1944년 노르망디 상륙작전에 같이 투입된 페니실린의 90%는 파이저의 제품이었다. 이후에도 파이저의 페니실린은 전쟁 기간 내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전쟁이 끝나고, 파이저가 페니실린을 대량생산하면서 페니실린의 가격은 하락했다. 이에 파이저의 수익도 감소할 수 밖에 없었다.
파이저는 1950년대에 들어서기 전까지 자사 제품의 원료를 다른 회사에 대량으로 판매하는 화학약품 제조업체였다. 하지만 1940년대 후반에 새로운 항생물질을 발견하면서 파이저의 자체 브랜드가 개발되었다. '테라마이신(Terramycin)'이라는 약품은 광범위 항생제로, 파이저의 독자적인 첫 약품이었다. 이때부터 파이저는 제약회사로 탈바꿈하게 된다. 이후 파이저는 계속해서 항생제를 개발했는데, 테트라신(Tetracyn)이나 비브라마이신(Vibramycin) 등 이었다. 1959년에는 동물의약품 개발에도 진출했다. 파이저가 1980년에 출시한 소염진통제 펠덴(Feldene)은 관절염, 골격질환, 통풍 등에 특효가 있었는데, 이 제품은 파이저의 약품 중 최초로 10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 1992년에는 전세계에서 가장 많이 처방받는 고혈압 치료제인 노바스크(Norvasc)를 출시하기도 했다. 파이저는 그 외에도 당뇨병 치료제인 글루코트롤(Glucotrol), 동물 약품인 애드보신(Advocin)과 아비엑스(Aviaz), 덱토맥스(Dentomax), 협심증 및 고혈압 치료제는 프로카디아 XL(Prodardia), 항진균성약인 디푸루칸(Diflucan) 등을 출시했다. 이런 여러가지 약품을 출시하면서 파이저는 세계에서 알아주는 제약업체가 되었으며, 1997년에는 포춘지가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존경받는 제약회사'에 뽑히기도 했다.
하지만 파이저를 현재의 위치에 올려놓은 것은 다름 아닌 '비아그라(Viagra)' 였다. 비아그라는 발기부전 치료제로 전 세계 성기능장애 환자들의 희망이 되었다. 하지만 파이저는 처음부터 발기부전 치료제를 개발하려고 한 것은 아니었다. 파이저는 협심증 치료제를 개발 중이었는데, 협심증 치료를 위해 개발한 비아그라의 성분이 의외로 발기부전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에 파이저는 정력이라는 의미의 비거(vigor)와 나이아가라(Niagara) 폭포의 이름을 합쳐 '비아그라'라는 이름으로 발기부전 치료제를 출시했다. 하지만 이름처럼 비아그라가 정력제는 아니었다. 단지 발기를 강제적으로 도와주는 약품이었을 뿐이다. 그럼에도 비아그라는 엄청난 판매량을 세웠고, 비아그라 덕분에 그동안 정력제로 알려져왔던 수컷 바다표범의 성기나 순록의 뿔의 판매량이 크게 줄어들었다. 비아그라가 생태계를 유지하는데 큰 도움을 준 셈이었다. 비아그라는 2000년에 전 세계 성기능장애 의약품 판매량의 90%를 차지할 정도로 엄청난 인기를 누렸다.
파이저는 이러한 성공을 바탕으로 여러 제약업체들을 인수하면서 회사의 규모를 키웠다. 워너 램버트(warner Lambert)나 파머시아(Pharmacia), 와이어스(Wyeth)등의 회사가 파이저와 합병되었다. 1999년에 파이저는 포브스지가 선정한 '올해의 기업'으로 파이저가 뽑히기도 했다. 파이저는 2004년에 세계적인 산업 지표인 다우존스 공업평균지수에 포함되면서, 최고의 제약업체로 인정받았다. 현재까지 파이저는 HIV 치료제나 금연 치료제, 다중표적항암제 등 다양한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또한 저소득층 미국인들을 위한 '더 파이저 포 리빙 쉐어 카드 프로그램(The Pfizer for living share card program)'을 선보이며, 저소득층 미국인들에게 매월 15달러 상당의 파이저 약품을 처방하는 등 여러 사회공헌도 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