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자동차 회사 BMW나 제너럴모터스, 볼보, 벤츠, 아우디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일본 회사가 바로 도요타 자동차이다. 도요타는 생산 및 판매대수로만 보자면 세계 1위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일본을 대표하는 자동차 회사를 넘어 세계에서 우뚝 선 도요타 자동차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도요타자동차는 1937년에 설립되었다. 도요타라는 이름은 설립자인 일본의 발명왕 도요타 사키치의 아들, '도요타 키이치로'의 성을 땄다. 원래 도요타 자동차는 도요타 사키치가 설립한 도요타자동방직기제작소 내에 있었던 자동차부서였다. 그 후, 1937년에 자동차 제조회사로 독립한 것이 현재의 도요타 자동차이다. 도요타 자동차 공업 주식회사로 독립한 후, 도요타는 승용차 'AA'를 출시했다. 하지만 그 이후부터는 주로 트럭을 생산했다. 1941년에 발발한 태평양전쟁으로 인해 군용트럭의 수요가 많아졌기 때문이었다. 도요타 자동차의 성장세가 멈춘 것은 2차 세계대전에서 일본이 패하면서 부터였다. 도요타는 실적이 부진하자 생산인원감축을 고려하게 되었고, 이는 곧 노사갈등의 시작이 되었다. 노동자들은 도요타 자동차를 위기에 빠트린 사장 도요타 키이치로의 해임을 요구하는 총파업을 진행했다. 결국 도요타 키이치로는 사장에서 물러나고, 도요타 자동차는 법정관리에 들어가게 되었다. 그런데 한국에서 한국전쟁이 발발하게 되면서 도요타는 다시 한 번 기회를 얻게 된다. 미군이 도요타에 군용트럭 1천대를 주문했기 때문이었다. 그 후, 도요타 자동차는 1955년 승용차 크라운과 1957년 승용차 코로나를 출시했다. 특히 크라운은 1957년에 미국으로 수출되어 500만대 이상의 판매고를 올렸다. 성장의 발판을 마련한 도요타는 1959년에 승용차 전문 공장을 설립해 대량생산체제에 돌입하게 되었다. 도요타는 그 후 1966년 소형차모델인 콜로라를 출시했다. 크라운, 코로나, 콜로라는 도요타의 대표브랜드가 되었다. 덕분에 도요타는 닛산을 누르고 일본 제일의 자동차 메이커로 성장하게 되었다. 1973년 오일쇼크 사태가 발생하면서 소형차인 콜로라의 인기는 더욱 높아졌다. 덕분에 콜로라는 출시 이후 4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전 세계에서 3,500만 대 이상이 팔리는 인기 모델이 되었다. 콜로라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세단이기도 하다. 도요타는 북미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기 위해 1988년에 미국에 5개의 자동차 공장을 준공했다. 그리고 다음 해에 '렉서스(Lexus)'라는 브랜드를 선보이고 고급 승용차를 출시했다. 렉서스 브랜드의 자동차는 벤츠와 BMW의 판매량을 넘어서는 엄청난 성공을 거두게 되었다. 이 결과는 도요타가 실용성을 중시한 차량 외에도 고급형 차량 등 전 차종에서의 강자가 되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덕분에 2008년에 들어서 도요타 자동차는 매출액과 생산량에서 자동차 부문 세계 1위로 발돋움한다. 자동차 부문이 아니더라도 도요타 자동차는 세계 12위의 매출액을 가지고 있는 회사가 되었다. 도요타 자동차는 렉서스의 급발진 문제때문에 2009년 미국에서 대규모 리콜 사태를 맞이하기도 했지만, 11년동안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고급차 브랜드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기록은 도요타 자동차가 연간 천만대가 넘는 차를 생산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다. 

도요타가 현재 판매하고 있는 차종으로는 캠리, 캠리 하이브리드, 프리우스, 시에나, 벤자, 도요타 86, 아발론, FJ 크루저, 렉서스 등이 있다. 도요타의 대표 모델이었던 콜로라는 2014년에 판매를 중단했다. 현재 도요타 자동차의 본사는 일본 아이치 현 중북부에 있는 도요타 시에 있다. 원래 시의 이름이 고로모 시였으나, 도요타 자동차가 고로모 시에 모토마치 공장을 세우면서 이름을 도요타 시로 변경했다. 그 뿐 아니라 도요타가 본사를 이곳으로 옮기면서 본사 소재지 또한 '도요타시 도요타쵸 1번지'가 되었다. 도요타 자동차는 일본 내에만 30개가 넘는 공장을 보유하고 있다. 일본 뿐 아니라 북미, 태국, 말레이시아, 브라질 등 세계 각지에 공장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 도요타는 자동차 제조 뿐만 아니라, 주택, 금융, 정보통신 쪽으로도 진출하고 있다.

BMW는 독일의 자동차 브랜드로, 세단, 컨버터블, SUV, 스포츠카, 모터사이클 등을 제조한다. 하지만 BMW의 모태 산업은 자동차가 아니었다. 지금부터 BMW의 역사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BMW는 1913년 칼 프리드리히 라프가 독일 뮌헨에 설립한 '라프 모토렌 베르케(Rapp Motor Works)'라는 항공기 엔진 제조업체가 그 시작이다. 라프 모토렌 베르케는 독일 공군에 엔진을 납품했지만, 1916년에 경영 위기를 맞게 된다. 이에 오스트리아 태생의 프란츠 오세프 포프와 독일 태생의 막스 프리츠가 라프 모토렌 베르케를 인수하여 회사 명칭을 '바이에리셰 모토렌 베르케(Bavarian Motor Works)'로 변경했다. 이때부터 바이에레셰 모토렌 베르케는 'BMW'라는 약자로 부르게 되었다. 1918년 주식회사로 상장된 바이에레셰 모토렌 베르케는 독일 군대에 계속 비행기 엔진을 납품했다. 하지만 제 1차 세계대전 이후, 전쟁에서 패배한 독일은 베르사유 조약으로 인해 더 이상 비행기를 생산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바이에레셰 모토렌 베르케는 사업의 전환점을 맞이하게 된다. 

항공기 엔진에서 모터사이클로 사업을 전환한 바이에레셰 모토렌 베르케는 1923년 첫 모델을 판매했다. 전쟁 패배 이후 독일의 경제는 매우 어려워졌고, 이에 자동차보다는 모터사이클에 대한 수요가 더 높았다. 게다가 바이에레셰 모토렌 베르케의 제품은 항공기 엔진 기술을 토대로 만들었기 때문에 큰 인기를 끌었다. 

1928년에 BMW는 프란츠 요세프 포프의 주도 아래, 자동차 산업으로까지 영역을 확장했다. BMW는 비행기공장이었던 아이제나흐를 인수해서 자동차 공장으로 재탄생시켰다. 영국의 자동차업체인 오스틴에서 소형 자동차 모델인 Austin 7의 제작권 및 판매권을 사들인 BMW는 1929년, 그를 기반으로 소형자동차 모델을 출시한다. BMW의 첫 자동차모델인 딕시는 그 이후 후속모델 딕시 디에이 투부터 디에이 포까지 연달아 출시되었다. 1933년 BMW는 BMW303을 출시했다. BMW303은 6기통 엔진이 장착되었으며 프로펠러 엠블럼과 키드니 그릴이 처음 적용된 제품이었다. 이후 프로펠러 엠블럼과 키드니 그릴은 BMW의 상징이 되었다. BMW는 1926년, 경쟁업체였던 다임러 벤츠와의 합병을 시도하기도 했으나 무산되었다. BMW는 항공기를 모티브로 한 2인승 레이싱카 BMW328을 1936년에 출시했다. 이 제품은 강철 프레임, 전방 독립식 서스펜스 등을 장착해 당시 좋은 평가를 받았다. BMW328은 출시되고 4년간 172개의 경주에서 141 차례 우승을 거두는 쾌거를 이루어 유명세를 얻게 되었다. 하지만 제 2차대전동안 독일 공군에 항공기 엔진과 로켓을 제작해주었던 BMW는 연합국에게서 3년 동안 생산 금지 명령을 받게 된다. 

1950년대에 들어서야 BMW는 다시 자동차 제작을 재기했다. 1952년 럭셔리 세단 두 모델을 출시했으나 전쟁 이후 경제상황이 좋지 못했던 독일 국민들에게서는 외면받았다. 그 이후 BMW는 미국 스포츠카 시장으로 눈을 돌렸다. 그 당시 미국 스포츠카 시장을 선점하고 있었던 회사는 다임러 벤츠였다. 자동차 역사상 불후의 명작으로 평가받는 다임러 벤츠의 '300SL'모델에 맞서 BMW가 출시한 제품은 BMW503과 BMW507이었다. 이 중, BMW507은 최고 출력 150마력에 최고속도 227km/h의 최고급 모델이었다. 많은 유명인들이 BMW507을 구입했지만 대중들에게는 너무 비싼 가격때문에 외면당했다. 계속되는 재정난을 타계하기 위해 BMW는 보급형 콤팩트 차량을 제작하기로 한다. BMW700은 세단, 쿠페, 컨버터블 총 3종류로 출시된 보급형 차량으로써 후방 엔진 구조가 특징이었다. 출시 전부터 화제를 모은 BMW700은 1965년까지 총 18만대가 넘게 판매되었다. BMW700이 선전하기는 했지만 1959년 BMW는 파산위기에 직면한다. 이에 BMW는 다시 한 번 다임러 벤츠와의 합병을 추진한다. 하지만 이마저도 BMW의 로고를 계속 유지해야한다고 주장하는 주주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이후 독일 사업가 헤르베르트 콴트가 BMW의 주식을 모두 사들여 BMW는 독립회사로 남을 수 있게 되었다. 

대주주가 된 헤르베르트 콴트는 BMW의 매출 촉진을 위해 다임러 벤츠에 있던 파울 한네만을 영입한다. 파울 한네만은 BMW의 판매이사가 되어 BMW에 엄청난 영향을 주게 된다. 1961년 프랑크푸르트 오토쇼에서 많은 호응을 얻은 BMW1500의 잠재력을 인식한 헤르베르트 콴트는 그 해 BMW 뉴 클래스 시리즈의 첫 모델로 BMW1500을 선택한다. 여기서 뉴클래스의 의미는 전쟁 이후 BMW가 생산하지 않았던 준준형 엔진 차량을 의미했다. 파울 한네만은 BMW1500의 가격을 포드(Ford)나 오펠(Opel) 등의 경쟁업체의 차량보다 훨씬 높게 책정했다. 하지만 BMW1500이 제공하는 스포츠형 이미지와 혁신적인 디자인, 품질의 결합 등에 대해 고객들의 인정을 얻었다. 특히 BMW1500의 후속모델인 BMW1800은 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이에 BMW는 프리미엄 라인과 저가 모델을 연이어 출시하고 계속 많은 사랑을 받았다. 덕분에 BMW는 재정난을 타계하고 스포츠 세단 브랜드라는 인식을 확고히 할 수 있었다. 

1970년에는 에버하르트 본 쿠엔하임이 새로운 CEO로 취임했다. 그는 BMW의 차량을 전부 시리즈 단위로 재정비했다. 1974년 석유파동이 일어나 엔진 효율성에 대한 고객들의 니즈가 크게 증가하였다. 이에 BMW는 콤팩트 차량인 3시리즈를 선보였고, 큰 성과를 거둔다. BMW는 경쟁업체인 다임러 벤츠의 벤츠S클래스의 대항마로 BMW7시리즈를 1977년 출시했다. 이는 BMW의 첫번째 대형 라인으로, 최신기술이 모두 접목된 고급형이었다. 1986년까지 BMW7시리즈는 약 28만대 이상의 높은 판매율을 보였다. BMW는 이후 벨기에, 프랑스, 이탈리아, 북미, 스위스 등 여러 나라에서 판매를 개시해 크게 성장했다. BMW의 생산량은 해외 진출 이후 4배 가량 급증했고, 매출액 또한 20배 가량 상승했다. 1990년대 초반 미국의 경제불황과 걸프전쟁으로 인해 BMW를 포함한 대부분의 자동차 시장이 큰 타격을 입었다. 1994년에 BMW는 새로 취임한 CEO 베르트 피세츠리더의 지휘 아래 영국의 자동차업체인 로버그룹을 인수했다. 1998년에는 롤스로이스를 인수하기도 했다. 기업 확장을 노렸던 BMW는 불경기로 인해 로버그룹을 운영하기 어려웠고, 이에 더불에 일본자동차 시장의 성장세가 급등하는 바람에 경영난에 봉착하게 된다. 결국 2000년에 BMW는 로버 그룹 중 미니(MINI)를 제외하고 랜드로버는 포드 모터 컴퍼니에, 나머지 로버는 피닉스 컨소시엄에 매각했다. 따라서 현재 BMW는 부속 브랜드로 롤스로이스와 BMW미니 만을 두고 있다.

럭셔리 프리미엄 자동차 브랜드의 대표 격인 메르세데스 벤츠는 세단, 컨버터블, 스포츠카, 쿠페 등을 제조하는 독일의 회사이다. 메르세데스 벤츠의 이름은 스페인어로 '우아함'을 뜻하는 메르세데스에서 따왔다. 세계 최초의 디젤 자동차를 개발한 메르세데스 벤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메르세데스 벤츠의 첫번째 기원은 1883년 칼 벤츠가 설립한 벤츠 앤 시에라는 세계 최초의 자동차 공장이다. 칼 벤츠는 최초의 휘발유엔진을 1879년 개발하고, 1883년 10월 독일 만하임에 공장을 설립했다. 1886년에 벤츠는 최초의 삼륜자동차를 개발했다. 이 자동차는 세계 최초로 '자동차'라는 이름으로 특허를 획득했고, 특허를 받은 자동차라는 의미의 '페이턴트 모터바겐'이라 이름 지어졌다. 벤츠 엔 시에는 1900년까지 매년 600대의 자동차를 생산했는데, 이 중에는 앞바퀴를 여러 각도로 움직일 수 있는 빅토리아도 포함되어 있다. 메르세데스 벤츠의 또다른 기원은 '다임러-모튼-게샬프트'이다. 이 회사는 줄여서 DMG라고 한다. DMG는 1902년에 경량차 메르세데스를 선보이는데, 메르세데스는 빠른 속도와 안전성을 지녀서 큰 인기를 얻었다. 제 1차 세계대전의 여파로 수년동안 경쟁관계였던 DMG와 벤츠 앤 시에가 연합하게 되었다. 두 회사는 디자인, 광고, 영업전략, 기술 등을 서로 협조하기로 하고 메르세데스-벤츠 AG를 설립하여 마케팅활동을 담당하게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DMG와 벤츠 앤 시에는 경제 위기를 극복하지 못했고, 결국 둘은 합병하여 다임러-벤츠AG가 된다. 이 다임러-벤츠 AG가 오늘날의 메르세데스-벤츠인 것이다. 

합병 이후 다임러 벤츠 AG는 최초의 모델을 선보였는데, 이 때 부터 모든 모델에 '메르세데스 벤츠'라는 이름을 붙였다. 또한 엠블럼은 두 회사가 합병한 것을 표현하기 위해 다임러 사의 세 꼭지 별을 벤츠의 월계관로고가 둘러싸는 디자인을 사용했다. 이 디자인이 모태가 되어 현재 원 안의 세꼭지 별 모양의 앰블럼이 탄생하게 된다. 

1928년, 메르세데스 벤츠는 메르세데스 SSK를 첫 생산했다. 250마력의 직력 6기통짜리 엔진과 4단 변속기를 장착한 이 모델은 시속 190km까지 낼 수 있는 성능을 지녔다. 그 다음해에는 2만km를 달리는 내내 한번도 고장이 나지 않을 정도의 뛰어난 내구성을 가진 뉘르부르크 모델을 선보였다. 메르세데스 벤츠는 이후 세계 최초로 디젤 엔진을 장착한 승용차를 개발했다. 이름을 '메르세데스 벤츠 260D'로 정한 디젤 자동차는 1936년부터 1940년까지 2000대 가량 생산되었다. 가솔린 엔진에 비해 무겁고 속도가 느린 대신, 연료비가 적게 들고 오래 달릴 수 있었기 때문에 택시 등에 주로 사용되었다. 1930년대의 메르세데스 벤츠는 디젤 자동차 외에도 '리무진' 차량에 주목했다. 국가 원수나 고위 공직자들을 대상으로 제작한 리무진은 독일의 빌헬름 2세나 독일 육군 원수였던 파울 폰 힌데부르크의 애정을 받았다. 제 2차 세계대전 때, 대부분의 독일 자동차 회사가 전쟁관련 물품을 생산했던 것처럼 벤츠 또한 군사장비나 비행기 모터 등을 생산했다. 1946년 종전 이후, 메르세데스 벤츠는 자동차 생산을 재게하였고, 그 다음 해에 '메르세데스 벤츠 300SL'을 출시했다. 자동차 역사 상, 불후의 명작으로 인정받는 메르세데스 벤츠 300SL은 경주용 자동차를 기본으로 제작되었으며, 6기통 2996cc의 215마력의 엔진을 장착했다. 최고속도가 무려 250km인 이 제품은 1954년부터 63년까지 3000대가 넘게 생산되었고, 뒤 이어 출시된 메르세데스 벤츠 190SL과 함께 현재의 메르세데스 벤츠 SL의 기원이 되었다. 1959년에는 BMW와의 합병이 추진되기도 했지만 무산되는 해프닝도 있었다. 1960년대의 벤츠는 오늘날 메르세데스 벤츠의 상징이 된 라디에이터 그릴을 쓰기 시작했다. 또한 1970년대 부터 모델명에 엔진 배기량에 따른 숫자를 첨부했다. 메르세데스 벤츠 C클래스의 원조읜 190시리즈는 미국 시장을 겨냥하여 1982년에 발표되었는데, 초기에는 성과를 얻지 못했다. 후에 190시리즈에 6기통 엔진과 자동 변속기가 추가되었고, 그제서야 190시리즈는 인기를 얻었다. 190시리즈는 그동한 중대형 고급 차량에 집중하던 벤츠의 소형모델이었다. 190시리즈의 성공은 메르세데스 벤츠의 시장을 확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1992년, 메르세데스 벤츠는 베르너 니퍼 전 회장의 지휘 아래 S클래스를 출시했다. 하지만 다음 해, 매출 부진과 인건비 상승으로 벤츠는 변화를 생각하게 된다. 특히 적자였던 포커 사를 인수하며 약 11억 마르크에 가까운 손실을 입었기에, 변화는 필수불가결한 요소였다. 덕분에 메르세데스 벤츠는 여러 자동차 회사 중 가장 먼저 대중화된 자동차를 개발했고, 현지 생산을 시작했다. 1993년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선보였던 소형컨셉카인 '비전 A93'이 변화의 시작을 알렸다. 1997년에는 메르세데스 벤츠 A시리즈가 출시되어 대중화를 더욱 가속시켰다. 1998년에는 미국의 자동차회사인 크라이슬러 코퍼레이션을 인수하여 '다임러-클라이슬러'를 결성했다. 크라이슬러 인수 이후, 다임러-크라이슬러는 '마이바흐' 브랜드를 다시 부활시킨다. 마이바흐는 초호화 수제 자동차 브랜드로, 세계 3대 명차 중에 속하기도 한다. 2003년의 메르세데스 벤츠는 영국의 포뮬러 원 팀인 맥라렌과 함께 '메르세데스 벤츠 SLR 맥라렌' 스포츠카를 출시했다. 2007년 크라이슬러를 매각한 메르세데스 벤츠는 사명을 다임러 AG로 변경하였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