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에 가장 유명한 두 항공사를 말하라고 하면 아시아나항공은 빠질 수 없다. 금호그룹의 항공사인 아시아나 항공은 대한민국 2위 규모의 민간항공사이다. 항공동맹체인 스타 얼라이언스의 가맹사이기도 하다. '아름다운 사람들'이란 슬로건을 가지고 있는 아시아나항공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아시아나항공은 코스피 상장 기업이며 회사 규모는 시가총액 약 1조원 정도의 회사이다. 순이익은 2011년 -299억원, 2012년 625억원, 2013년 -1,147억원, 2014년 633억원, 2015년 -1,392억원으로, 기업으로서의 실적은 별로 좋지 못하다고 할 수 있다. 아시아나항공은 2016년부터 저가 항공사인 에어서울을 만들었다. 아시아나 적자노선 대부분을 에어서울이 운항 중인데 그 예는 인천-가고시마, 인천-도야마, 인천-나가사키 등, 총 10개 노선이다. 에어서울로 적자노선을 이전한 후, 2016년부터 실적이 좋아지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은 대한민국 정부에서 추진한 제2의 민간정기항공운송사업자로 금호그룹이 선정되어 설립된 항공사이다. 1988년 2월 17일에 설립된 이름은 서울항공이었다. 이후 1988년 8월 11일, 사명을 아시아나항공으로 변경하였다. 1988년 12월 10일 B737-400 기종을 도입하여, 12월 23일 김포 - 광주 노선과 김포 - 김해 노선에 처음 취항하였다. 1989년 1월 10일 김포 - 제주 노선에 취항하였고, 1월 13일 김해-제주 노선에, 2월 19일 광주-제주 노선에 각각 취항하였다. 8월 3일 광주-김해 노선, 10월 20일 김포-대구, 대구-제주 노선 등 국내선 노선을 취항하였고, 12월 16일에는 김포-예천 노선에 취항하였다. 아시아나항공의 최초 전세 여객기는 1989년 12월 23일 김포-센다이 구간을 운항하였다. 이후 1990년 1월 10일 김포 - 도쿄(나리타) 구간을 운항함으로써 아시아나항공은 최초로 국제선 노선을 취항하게 되었다. 또한 2월 8일 김포 - 나고야, 3월 6일 김포 - 후쿠오카, 4월 6일 김포 - 센다이 간 노선에 각각 취항하였으며, 12월 17일 최초의 동남아 노선인 김포 - 홍콩 노선에 취항하였다. 1991년 1월 2일 박삼구 사장이 취임한 후, 김포 - 방콕 - 싱가포르 노선에 취항하였으며, 같은 해 3월 김포국제공항에 격납고가 준공되었다. 이어 5월에 제주 - 후쿠오카 노선을 취항하였고, 6월에는 운항 승무원 훈련원을 개설함과 동시에 김포 - 히로시마 노선에 취항하였다. 1991년 7월 3일에는 아시아나 애바카스 정보 주식회사를 설립하였으며, 11월 1일 김해 - 후쿠오카 노선에 취항하였다. 같은 해 11월 15일에는 김포 - LA 노선을 운항함으로써 미주 지역에 첫 취항하게 되었으며, 12월 2일 제주 - 김해 - 센다이 노선에 취항하였다. 이후 1993년 2월 17일 미국 시애틀 등 미주 서부지역 또한 운항을 개시하였다. 1995년에는 세계 최초로 전 노선 기내 금연을 실시하였으며, 현재는 아에로플로트를 마지막으로 전 세계 모든 여객기 내에서는 금연이 되었다. 아시아나항공은 1999년 12월 24일, 코스닥에 상장되었다. 이후 금호그룹이 금호아시아나그룹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그 이후, 2006년 2월 1일에는 모회사인 금호아시아나그룹의 CI 통일 작업의 일환으로 CI를 변경하였다. 또한 2008년 창사 20주년을 맞이하여 항공기의 도색 디자인을 현재의 색동디자인과 같이 변경하였다. 아시아나항공은 세계 최대의 공항 및 항공사 서비스 평가 사이트인 스카이트랙스로부터 2007년부터 2013년까지 7년 연속 5성 항공사 인증을 받는 쾌거를 달성하였다. 

2015년 9월 기준으로 아시아나항공은 보잉 기종 34대와 에어버스 기종 48대를 포함해 총 88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평균 기령은 약 9년이다. 에어버스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며, 협동체는 보잉 737를 전량 퇴역시키고 에어버스 A320 시리즈로 단일화하여 운용 중이다. 대한항공과 달리 자체적으로 구비한 엔진 중정비 공장이 없는 관계로, 이미 도입한 A380-800과 차후에 도입할 A350을 포함한 일부 기체에는 롤스로이스 plc의 엔진을 적용한다. 

기내식 서비스는 국제선에 한하여 제공되며, 국내선의 경우에는 음료 서비스만을 제공하고 있다. 메뉴는 보통 한식과 양식, 취항지에 따른 각국의 전통음식 등으로 나뉘어 제공된다. 한식 메뉴로는 영양쌈밥, 비빔밥, 불고기, 삼계죽 등이 있으며 외국인을 위해 다양한 언어로 구성된 안내서를 함께 제공하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은 고급 레스토랑 및 쉐프와 업무제휴를 통해 개발된 메뉴를 제공하고 있으며, 국내외의 저명한 평가기관과 Global Traveler, Business Traveler 같은 전문지로부터 수년간 기내서비스, 기내식, 와인, 전체적인 고객만족도 등 여러 부문에서 수상하기도 했다. 종교나 건강상의 이유, CHILD MEAL 등 별도로 구성된 특별 기내식을 원할 경우엔, 예약시 사전에 신청하면 된다. 신청이 완료되면 기내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2005년 9월부터 소믈리에가 선정한 프랑스, 미국, 칠레 등 다양한 와이너리의 와인을 모든 클래스에서 제공하고 있다. 단, 와인 제공의 경우 미주, 유럽 등 장거리 노선에서만 서비스하고 있다. 단거리 노선의 경우에는, 퍼스트, 비즈니스 클래스에서만 한해서만 제공하고 있다. 최근 아시아나항공에서는 모든 클래스에서 막걸리도 서비스하고 있다. 또한 장거리 노선 중 일등석을 이용하는 고객은 약 11가지의 궁중 반상 기내식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기내 엔터테인먼트로는 국제선 장거리 노선에서 주로 제공되는 개인용 모니터 서비스인 PTV와 AVOD 시스템이 있다. 현재 PTV는 보잉 777 항공기 12대 중 3대에서 제공 중이다. AVOD는 나머지 B777 9대 (HL7700, 7732, 7739, 7755, 7756, 7775, 7791, 8254, 8284)와 보잉 767의 비즈니스 클래스, 보잉 747, 에어버스 A330 및 에어버스 A320의 비즈니스 클래스 일부에서 서비스 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최신 앨범을 비롯해 300여개의 유명 뮤지션 앨범 전곡을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여러 종류의 한국 예능 프로그램도 제공되고 있다. 2009년 12월 새로 도입한 에어버스 A321-200 기종에는 중/단거리 항공기 최초로 AVOD 시스템이 갖춰져 있다. 전노선 모든 클래스에 기내잡지 "ASIANA"와 엔터테인먼트잡지 "ASIANA Entertainment"를 제공하고 있으다. 또한 국제선에 한하여 기내면세품 판매서비스를, 국내선은 기내통신 판매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 

그 외에도 장거리 노선 탑승객의 편의를 위해 기내용품키트를 제공하고 있는데, 키트는 클래스별로 내용물이 다르다. 기종별로 각 클래스 좌석에 제공되는 전원 공급에도 차이가 있다. 퍼스트 스위트, 퍼스트, 비즈니스, 비즈니스 스마티움 클래스의 경우에는 110V 및 USB 포트가 제공된다. 이코노미석의 경우, 기종별로 상이한데, 주로 신형 기종에서 110V 전원을 제공한다.

우리나라 국적기 중 대표적인 항공사를 말한다면 대한항공을 들 수 있다. 대한민국의 국책 항공사이자, 항공 동맹체인 스카이팀의 창립 항공사인 대한항공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한다.



대한항공은 1929년에 신용욱이 조선비행학교를 설립함으로써 그 역사가 시작되었다. 이후 조선비행학교는 1936년 10월에 조선항공사업사로 명칭을 바꾸고 정기 운항을 시작하였다. 해방 이후 조선항공사업사는 미 군정의 허가를 받아 1946년 3월 1일 대한국민항공사로 이름을 바꾸고 영업을 재개하였다. 그러나 수요 급감과 환율 상승으로 인한 운영상의 어려움, 신용욱의 투신자살로 도산위기해 처하게 되었다. 그 후, 1962년 대한민국 정부가 출자하여 대한국민항공사를 인수해 대한항공공사를 설립하였다. 그러나 대한항공공사는 부채와 누적 적자가 27억 원에 달하는 등 만성적인 경영난에 시달리게 되어 민영화를 추진하게 되었다. 

1969년 3월 1일, 인천 거점의 운송전문 기업인 한진상사에서 대한항공공사의 부채를 떠안는 조건으로 14억 5,300만 원에 대한항공공사를 인수하였고, 그와 동시에 민영화되어 현재의 대한항공으로 발족했다. 불하 당시 대한항공공사는 제트기로는 DC-9기 1대, 프로펠러기로는 당시로서는 노쇠한 DC-3기 2대, DC-4기 1대, F-27기 2대, FC-27 2대로 총 8대를 보유하고 있었다. 민영화 초기, 오래된 기종 폐기와 더불어 전 노선 제트화를 목적으로 프로펠러기를 모두 처분하려 했다. 하지만 노령기였던 DC-3, 4기와 FC-27기만 폐기 처분되었고, F-27기는 오히려 3대 더 구입하여 국내선에 투입하였다. 또한 국내선과 단거리용으로 일본에서 YS-11기를 도입하여 1976년까지 사용하였다. 1969년에 민영화된 대한항공은 보잉 720 항공기를 도입하여 인근 국제선 노선에 투입, 대한민국의 제트기 시대를 열었다. 보잉 720 항공기는 1970년까지 대한항공의 유일한 제트기로서 역할을 해냈다. 같은 해 최초로 국제선 노선을 취항하였다. 또한 이 기간 동안에 대한항공은 3대의 보잉 707 화물기를 도입해 수익 창출을 다각화 하였다. 1971년에는 보잉 707을 도입함으로써, 1972년까지 보잉 727 항공기와 단 1대의 보잉 707 항공기로 노선 전역을 커버하였다. 1971년 3월 26일에는 새로운 항공협정을 통해 호놀룰루와 로스앤젤레스의 취항권을 획득하였고, 이 노선은 현재까지도 대한항공의 주력 노선으로 운항하고 있다. 이 노선의 효과적 운용을 위해 당시 조중훈 사장은 보잉 747 도입을 결정해서 1972년 10월 18일에 보잉 747-2B5의 도입을 확정 지었다. 그리고 1973년 5월 2일에 보잉 747-2B5B(HL7410) 융비호 항공기를 도입했다. 초기 미주 노선은 서울 ~ 도쿄 ~ 호놀룰루 ~ 로스앤젤레스를 거쳐야 하는 장거리 노선이었으며 비행 시간은 17시간이었다. 논스톱 직항편은 그로부터 몇 년 후에 신설이 되었다. 하지만 보유 기종의 항속거리 미달과 항공 협정의 불리한 조항 때문에 논스톱 직항편 신설이 지연되었다. 그 시절에는 중동 붐으로 중동으로 향하는 노선들이 많이 있었는데, 국제 정서상 모두 중국, 베트남을 우회해서 통과하였다. 미주 노선도 마찬가지로 국제 정서상 북한, 소련 영공을 통과하지 못하고 일본 센다이 쪽으로 우회해서 가야 했다. 다만, 특이한 항로도 있었다. 바로 김포국제공항에서 방콕 돈므앙 국제공항과 사우디아라비아의 킹 압둘아지즈 국제공항을 경유하여 스위스의 취리히 공항을 연결하는 항로였다. 미주 노선이 안정화되면서 대한항공은 유럽 노선 개척에 힘을 썼다. 이를 위해 엑조세 미사일 도입건과 함께 체결된 에어버스 여객기의 패키지 주문에 따라 A300 항공기(1975년 8월 8일, HL7218 임차도입)를 유럽 이외 지역에서 최초로 발주했다. 또한 적극적인 영업 활동을 하면서 화물 노선에 취항 후 여객 노선에 취항하였다. 당시에는 국제 정서상 소련 영공을 통과하지 못해 거꾸로 미국 알래스카 주의 테드 스티븐스 앵커리지 국제공항에서 중간 기착 및 급유를 마친 후 다시 운항하였고, 앵커리지에서 북극을 통해 영국, 프랑스 등을 연결하였다. 앵커리지로 가는 항공편마저도 북한, 소련 영공을 우회하기 위해 일본 도호쿠 지방(야마가타 현, 미야기 현) 쪽으로 돌아서 비행했다. 조중훈 전 회장은 에어버스 여객기의 유럽 외 지역의 판로를 개척했다는 공로로 1990년 프랑스 정부로부터 레지옹 도뇌르 훈장 중 2등급인 그랑도피시에를 받았다. 또한 대한항공은 보잉 707 화물기와 맥도넬더글러스 DC-10 여객기로 파리까지 가는 유럽 항로를 운항하기 시작하였다. 1978년 5월 22일에 도쿄 도착편의 KE701편이 나리타 국제공항에 첫 착륙하는 이색적인 기록도 세웠다. 1985년에 보잉 747SP 항공기 편성을 시작으로 나리타 국제공항에 가는 정규 노선이 신설되었다. 

대한항공은 1980년 초에 새 항공기 CI를 위한 공모를 하였으나 적절한 작품을 찾지 못했다. 결국 보잉과 공동으로 작업한 하늘색 바탕의 은색띠, 그리고 볼드체의 영문 KOREAN AIR와 대한민국의 전통 태극무늬와 추진적인 프로펠러 이미지를 합친 새 CI를 구상하였다. 새로운 CI는 한글과 한자로 된 부분이 현저하게 줄었는데, 이는 대한항공의 글로벌 인지도 상승을 위함이었다. 이 새로운 CI는 1984년 3월 1일에 적용되었다. 이 새로운 CI는 같은 년도에 도입된 포커 28 항공기와 보잉 747-300B부터 적용되어 점차 확대 및 적용되었다. 이 CI는 1990년대에 아주 작은 변화가 있었는데, 그것은 바로 기체 기수에 한글 '대한항공'의 변화이다. 초기 CI에서는 기울임꼴로 처리되어 있었지만, 1990년대에 도입되거나 새로이 도장된 기체에는 기울임꼴이 아닌 일반체로 되어있다. 이로써, 구 CI와 신 CI의 유일했던 공통점이 사라지게 되었다. 새로운 도장은 현재까지도 대한항공의 비행기에 변함없이 쓰이고 있다. 

냉전 종식 및 소련이 해체된 후 1991년에는 중국, 몽골, 러시아에 취항하기 시작하였으며, 2006년에는 러시아의 아에로플로트와 제휴를 시작했다. 냉전 종식 후에는 러시아 상공을 통과할 수 있게 되어 앵커리지 경유가 없는 유럽 직항이 활성화되었다. 1992년에는 남아메리카 최초의 노선인 브라질 상파울루행 노선이 신설하였으나 2001년에 운항을 중단한 뒤 2009년에 재취항했다. 단, 이 노선은 인천국제공항에서 브라질까지 항속거리를 모두 커버할 수 없기 때문에 미국 LA에서 중간 기착한 후 운항한다. 이 노선이 앵글로아메리카를 거치는 유일한 노선이다. 그러나 지속적인 적자로 제 31회 리우데자네이루 하계 올림픽이 끝나는 2016년 9월 25일을 기해 무기한 단항을 하고 있다. 대한항공은 1987년 2월 27일에 맥도넬더글러스 DC-10 항공기를 대체하기 위해 맥도넬더글러스 MD-11의 계약을 체결하였다. 그러나 맥도넬더글러스 MD-11의 계약성능 미달 문제와 보잉과 맥도넬더글러스의 합병으로 이 항공기의 유지비가 오를 것으로 전망되어 2003년에 전량 퇴역했다. 퇴역하기 직전에 이 기종은 대부분 화물기로 운항했다. 또한 맥도넬더글러스 MD-11은 여러 가지 사건과 사고가 있었다. 그 중 2개는 바로 1998년에 서울에서 도쿄로 가던 비행기가 제주에서 기상 약화로 인해 회항하면서 이탈하는 사고와 2002년에 시드니 국제공항에서 콴타스 항공 소속 지상조업자의 부주의로 일어난 사고가 있었다. 그 밖에도 밀라노와 상하이 근방에서 일어난 사고로 사고 원인은 이륙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실속으로 추락한 사고였다. 1997년부터 보잉 777과 에어버스 A330을 도입하기 시작해 맥도넬더글러스 MD-11의 공백으로 생긴 200석에서 300석 규모의 장거리 기체를 보완하기 시작했다. 대한항공은 2000년에 스카이팀에 창립 회원사로 가입하였으며 보잉 777이 도입되면서 구형 보잉 747-400 여객기는 화물기로 개조 중에 있다. 그리고 비교적 신형의 보잉 747-400 기종은 단계적으로 기내 업그레이드를 실시하고 있다. 

사실 대한항공의 스카이팀 창설에는 일화가 있다. 당시 최대 항공동맹이었던 스타 얼라이언스에 가입하려 하였으나, 당시에 대한항공은 각종 사고가 많던 시절이라 가입이 거부되었다. 그래서 대한항공은 그 후 2000년에 델타 항공, 에어 프랑스, 아에로멕시코와 스카이팀을 결성하게 되었다. 대한항공이 스카이팀에 가입하면서, 경쟁사인 아시아나항공은 2003년에 스타 얼라이언스에 가입하게 된다. 

2007년에 저가 항공사가 늘어나면서 대한항공도 저가 항공사를 설립하기로 하였다. 대한항공의 새로운 저가항공사 이름은 진에어로 확정되어 현재 11개 도시에 운영 중이다. 또한 2010년에 세계적인 게임 회사인 블리자드와 협력하면서 보잉 747-400기와 보잉 737-900기에 스타크래프트 2 CI를 적용했다. 현재 항공기 기종은 에어버스 A380-800, 보잉 787-9, 보잉 747-8I, 보잉 777-300ER, 봄바디어 CS300를 도입하고 있다. 특히 에어버스 A380-800는 첫 운행 당시(HL7611) 인천국제공항발 나리타 국제공항 노선에 투입되어 예약률이 92%로 도달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또한 봄바디어 CS300 항공기 경우, 보잉 737과 같은 비행기로 프랑스 에어쇼에서 20대에 더하여 10대를 주문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최근에는 뉴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AVOD를 장착한 보잉 737-900ER을 새로 2대 도입했다. 새로 도입할 보잉 737-900ER 4대와 보잉 737-800 10대에도 AVOD를 장착하여 도입할 계획이다. 2011년에는 봄바디어 CS300을 10대 주문하였다. 같은 해, 대한항공은 페루 리마로 가는 부정기편을 운항해 브라질 이외의 남미 국가를 운항하는 최초의 항공사가 되었다. 또 2012년에 동아시아 최초로 케냐의 나이로비행 논스톱 직항편을 신설하였고, 11월부터는 15년만에 사우디아라비아의 리야드~제다에도 정기 여객편을 투입한다. 하지만 에볼라 바이러스의 여파로 나이로비행은 휴항했다가 2015년 7월에 완전히 단항하고 말았다. 

대한항공은 2013년 8월 1일, 투자사업 부문을 주식회사 한진칼로 분할하였다. 또한 12월 19일부터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노력을 시작했다. 대한항공은 현재 800%에 달하는 부채율을 400%대까지 줄이기 위해 에스오일지분 3,000만 주를 매각하고 연비효율이 좋지 않은 보잉 747-400, 보잉 777-200ER 항공기 15대를 매각하기로 하였다. 2015년 4월 25일, 보잉 777-200ER HL7733 스카이팀 특별도장 기체의 진에어 송출 예정으로 인해 보잉 777-300ER HL7783 기체에 스카이팀 특별도장을 입힌 것이 공개되었다. 대한항공은 또한 2016년 3월부터 제트 에어웨이스와 제휴를 개시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