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자동차 회사 BMW나 제너럴모터스, 볼보, 벤츠, 아우디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일본 회사가 바로 도요타 자동차이다. 도요타는 생산 및 판매대수로만 보자면 세계 1위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일본을 대표하는 자동차 회사를 넘어 세계에서 우뚝 선 도요타 자동차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도요타자동차는 1937년에 설립되었다. 도요타라는 이름은 설립자인 일본의 발명왕 도요타 사키치의 아들, '도요타 키이치로'의 성을 땄다. 원래 도요타 자동차는 도요타 사키치가 설립한 도요타자동방직기제작소 내에 있었던 자동차부서였다. 그 후, 1937년에 자동차 제조회사로 독립한 것이 현재의 도요타 자동차이다. 도요타 자동차 공업 주식회사로 독립한 후, 도요타는 승용차 'AA'를 출시했다. 하지만 그 이후부터는 주로 트럭을 생산했다. 1941년에 발발한 태평양전쟁으로 인해 군용트럭의 수요가 많아졌기 때문이었다. 도요타 자동차의 성장세가 멈춘 것은 2차 세계대전에서 일본이 패하면서 부터였다. 도요타는 실적이 부진하자 생산인원감축을 고려하게 되었고, 이는 곧 노사갈등의 시작이 되었다. 노동자들은 도요타 자동차를 위기에 빠트린 사장 도요타 키이치로의 해임을 요구하는 총파업을 진행했다. 결국 도요타 키이치로는 사장에서 물러나고, 도요타 자동차는 법정관리에 들어가게 되었다. 그런데 한국에서 한국전쟁이 발발하게 되면서 도요타는 다시 한 번 기회를 얻게 된다. 미군이 도요타에 군용트럭 1천대를 주문했기 때문이었다. 그 후, 도요타 자동차는 1955년 승용차 크라운과 1957년 승용차 코로나를 출시했다. 특히 크라운은 1957년에 미국으로 수출되어 500만대 이상의 판매고를 올렸다. 성장의 발판을 마련한 도요타는 1959년에 승용차 전문 공장을 설립해 대량생산체제에 돌입하게 되었다. 도요타는 그 후 1966년 소형차모델인 콜로라를 출시했다. 크라운, 코로나, 콜로라는 도요타의 대표브랜드가 되었다. 덕분에 도요타는 닛산을 누르고 일본 제일의 자동차 메이커로 성장하게 되었다. 1973년 오일쇼크 사태가 발생하면서 소형차인 콜로라의 인기는 더욱 높아졌다. 덕분에 콜로라는 출시 이후 4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전 세계에서 3,500만 대 이상이 팔리는 인기 모델이 되었다. 콜로라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세단이기도 하다. 도요타는 북미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기 위해 1988년에 미국에 5개의 자동차 공장을 준공했다. 그리고 다음 해에 '렉서스(Lexus)'라는 브랜드를 선보이고 고급 승용차를 출시했다. 렉서스 브랜드의 자동차는 벤츠와 BMW의 판매량을 넘어서는 엄청난 성공을 거두게 되었다. 이 결과는 도요타가 실용성을 중시한 차량 외에도 고급형 차량 등 전 차종에서의 강자가 되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덕분에 2008년에 들어서 도요타 자동차는 매출액과 생산량에서 자동차 부문 세계 1위로 발돋움한다. 자동차 부문이 아니더라도 도요타 자동차는 세계 12위의 매출액을 가지고 있는 회사가 되었다. 도요타 자동차는 렉서스의 급발진 문제때문에 2009년 미국에서 대규모 리콜 사태를 맞이하기도 했지만, 11년동안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고급차 브랜드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기록은 도요타 자동차가 연간 천만대가 넘는 차를 생산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다. 

도요타가 현재 판매하고 있는 차종으로는 캠리, 캠리 하이브리드, 프리우스, 시에나, 벤자, 도요타 86, 아발론, FJ 크루저, 렉서스 등이 있다. 도요타의 대표 모델이었던 콜로라는 2014년에 판매를 중단했다. 현재 도요타 자동차의 본사는 일본 아이치 현 중북부에 있는 도요타 시에 있다. 원래 시의 이름이 고로모 시였으나, 도요타 자동차가 고로모 시에 모토마치 공장을 세우면서 이름을 도요타 시로 변경했다. 그 뿐 아니라 도요타가 본사를 이곳으로 옮기면서 본사 소재지 또한 '도요타시 도요타쵸 1번지'가 되었다. 도요타 자동차는 일본 내에만 30개가 넘는 공장을 보유하고 있다. 일본 뿐 아니라 북미, 태국, 말레이시아, 브라질 등 세계 각지에 공장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 도요타는 자동차 제조 뿐만 아니라, 주택, 금융, 정보통신 쪽으로도 진출하고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