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 전에 포스팅했던 'US스틸'에서 카네기가 항상 견제하던 사람이 있었으니, 바로 존 데이비슨 록펠러이다. 록펠러는 스탠더드 오일을 운영하며 엄청난 부를 축적했다. 하지만 스탠더드 오일이라는 회사는 지금은 존재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1911년 미연방 법원이 스텐더드 오일 사가 미국의 반독점법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회사를 여러 회사로 독립시키라는 판결을 내렸기 때문이다. 스탠더드 오일은 각기 모빌오일(Mobil Oil Corporation), 콘티넨털 오일(Continental Oil Company), 아모코(Amoco Corporation), 엑슨모빌(Exxon mobil Corporation) 등으로 쪼개졌다. 하지만 스탠더드 오일은 미국 역사상 가장 중요한 기업 중에 하나이다. 스탠더드 오일을 설립한 존 데이비슨 록펠러는 지구 역사상 가장 많은 부를 얻은 사람으로 꼽힌다. 심지어 클레오파트라, 나폴레옹, 러시아의 니콜라이 2세 등 수많은 부자들을 제치고 당당히 세계 1위의 부자 자리를 차지했다. 그의 자산은 현재 빌 게이츠의 전재산의 3배에 가깝다고 하니, 록펠러가 얼마나 대단한 사람이었는지 짐작할 수 있다. 지금부터 스탠더드 오일 사에 대해 알아보면서, 미국의 근대 경제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뉴욕 리치퍼드에서 태어난 록펠러는 원래부터 부자는 아니었다. 그는 클리블랜드의 센트럴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휴이트 앤드 터틀'이란 회사에서 경리부 직원으로 취업했다. 그는 거기서 회계장부를 관리하는 업무를 맡았는데, 그 때의 습관이 록펠러의 성공을 만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미국 최고의 부자가 된 후에도 그는 하루도 빼놓지 않고 장부를 기입했다고 한다. 그는 이후에 친구와 함께 1895년에 상사회사를 설립했다. 그는 1863년에 부업으로 클리블랜드에 정유소를 설립했는데, 이때까지만 해도 아무도 그가 부자가 될 거라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심지어 그의 정유소는 파산 직전까지 갔었다. 당시 미국의 철도왕이라고 불릴 정도로 미국의 철도수송시장을 장악했던 코넬리우스 벤더빌트는 돈의 흐름을 파악하는 능력을 가진 사람이었다. 그는 원래 선박업으로 돈을 벌었는데, 남북전쟁이 일어나기 직전에 선박수송보다는 철도수송이 더 많이 필요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는 가지고 있던 모든 선박을 팔아서 철도에 투자했다. 그의 전략은 100% 맞아서 그는 남북전쟁이 끝날 무렵 미국 제일의 부자가 되었다. 그는 미국 최대 단일 철도회사를 가졌는데, 그걸로 만족하지 않았다. 그는 새로운 사업을 구상했는데, 그것은 바로 등유 수송이었다. 등유가 막 개발되기 시작해서 조명이 발달하는 시기였다. 벤더빌트는 앞으로 등유가 더 많이 필요해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래서 벤더빌트는 등유를 독점 수송할 계획을 세우는데, 그 때 마침 벤더빌트의 눈에 든 것이 바로 존 데이비슨 록펠러였다. 벤더빌트의 눈에 록펠러는 그저 평범하고 파산 직전에 내몰린 정유소 사장일 뿐이었다. 벤더빌트는 그를 이용하고자 클리블랜드에서 자신의 회사까지 올 수 있도록 기차표를 예매해주었다. 록펠러는 미국 최고의 부자가 자신과 협상을 하고자 하니 마음이 들떴다. 하지만 그는 벤더빌트가 예약해준 열차를 놓치고 만다. 그런데 그 열차가 사고가 나면서 탑승자 대부분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록펠러는 독실한 기독교신자였는데, 그는 이 사고를 보고 자신이 선택받은 인간이라고 생각하게 된다. 자신감을 가지게 된 록펠러는 벤더빌트를 만나러 가서 누구보다 당당한 모습으로 벤더빌트와 협상을 진행했다. 벤더빌트는 자신감 넘치는 록펠러를 믿고 그와 계약을 했다. 그런데 사실 록펠러는 벤더빌트와 계약한 만큼의 등유를 생산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 계약을 위반해서는 안되었기 때문에, 록펠러는 투자자들을 모아 '스탠다드 오일'이라는 회사를 차렸다. 그는 투자받은 돈으로 등유 생산량을 높이고 정유시설이나 보관창고 등도 업그레이드했다. 덕분에 록펠러는 벤더빌트와의 계약을 성공적으로 이루어내게 된다. 록펠러는 승승장구하여 미국 최대의 등유생산자가 되었다. 록펠러는 록펠러의 등유 생산량은 어느새 벤더빌트의 수송능력을 넘어서게 되었다. 이때 록펠러에게 접근한 것이 바로 철도업자인 탐 스캇과 그의 제자인 앤드류 카네기였다. 탐 스캇은 제자와 함께 클리블랜드의 스탠다드 오일 사를 방문해 록펠러를 만나 자신들과도 계약을 하자고 제안했다. 록펠러는 이에 벤더빌트와 스캇을 경쟁시켜서 등유 운송비가 줄어들게 했다. 운송비를 절약하고 등유를 판매한 돈이 넘치자, 록펠러는 그 돈으로 다른 정유사들을 사들이기 시작했다. 록펠러는 결국 나이 33세 때, 미국 최고의 석유왕이 되었다. 그가 공급하던 석유 물량이 북미 석유 전체의 90%가 넘었다. 록펠러는 계속 돈을 버는데, 스캇과 벤더빌트는 운송비를 저렴하게 받으니 상대적으로 적은 돈을 벌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둘은 담합을 해서 운송비를 높이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이 소식을 들은 록펠러는 막대한 자금력으로 대규모 송유관을 건설해, 직접 석유를 운송하기 시작했다. 록펠러의 석유를 더이상 운송할 수 없게 되자 미국의 철도산업은 순식간에 무너지게 되었다. 철도산업이 무너지자 미국에는 엄청난 경제불황이 닥치게 되었다. 수많은 노동자가 일자리를 잃게 되었고, 많은 철도회사가 파산했다. 이것이 바로 1873년 일어난 미국의 대공황이었다. 록펠러는 파산한 철도회사들을 사들여 직접 석유를 운송했다. 록펠러는 대공황을 이용해 전세계의 등유물량을 생산하게 되었다. 당시 록펠러가 미국의 98%에 가까운 등유를 통제했다고 한다. 그의 당시 순자산은 현재 가치로 250조원에 달했다. 


록펠러는 승승장구했다. 대공황 후에 철강으로 큰 부를 축적한 철강왕 카네기의 몇 배에 달하는 자산을 가졌을 정도였다. 록펠러는 이윤을 다른 사업에도 투자했다. 덕분에 스탠더드 오일 사의 자회사는 산림, 광산, 철도, 은행 등 분야가 매우 다양했다. 1882년에 록펠러는 스탠더드 오일의 계열사들을 모두 통합하여 스탠더드 오일 트러스트를 설립했다. 하지만 1890년에 오하이오 주에서 셔먼법 위반을 이유로 스탠더드 오일 트러스트를 해산시켰다. 셔먼법은 미국 최초의 독점 금지법으로, 주간 및 국제간 거래를 제한할 수 있는 생산 주체 간 어떤 형태의 연합도 불법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는 독점을 방지하기 위한 미국 최초의 법이었다. 이에 록펠러는 원래 스탠더드 오일 트러스트의 본사가 있던 오하이오 주 클리블랜드에서 뉴저지로 사업의 거점을 옮겼다. 뉴저지 스탠더드 오일은 미국 전역에 있는 스탠더드 오일 자회사의 지주회사 역할을 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1911년 미국의 반트러스트법이 시행되면서, 스탠더드 오일 트러스트는 법 위반으로 결국 해체되었다. 스탠더드 오일은 이후 저지 스탠더드 오일, 캘리포니아 스탠더드 오일, 뉴욕 스탠더드 오일 등의 독립회사로 쪼개졌는데, 이 회사 중, 저지 스탠더드 오일과 뉴욕 스탠더드 오일이 합병해서 엑슨모빌이 되었다. 록펠러는 성공을 위해서는 물불 가리지 않는 냉혹한 사람이라고 평가받기도 한다. 스탠더드 오일에 해체된 후, 록펠러는 자선가로 변신했다. 스탠더드 오일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대형 다국적 기업 중 하나다. 비록 해체되기는 했지만, 스탠더드 오일은 미국의 근대 경제에서 빠질 수 없는 축이 되었다. 

철강왕 카네기에 대해서 아는가? 미국 최대의 철강회사인 US스틸(United States Steel Corporation)의 역사에 대해 알려면 철강왕 카네기에 대해 먼저 알아야 한다. 카네기의 일생은 미국의 근대사회 전반의 경제역사를 다루는 것과 비슷하다. 지금부터 미국의 근대 경제 발전을 알아보며 US스틸이 설립되기까지의 과정을 파헤쳐보기로 한다.



앤드류 카네기는 철도업자 탐 스캇의 제자였다. 미국은 남북전쟁이 끝난 후 철도운송이 발달되었다. 당시 미국의 철도왕이었던 코넬리우스 벤더빌트는 미국의 최대 등유 생산자였던 록펠러의 오일을 수송하고 있었다. 하지만 록펠러의 스텐다드 오일사의 오일 생산량이 너무 많아지자 벤더빌트의 수송능력으로는 한계가 있었다. 탐 스캇은 이를 노리고 록펠러를 찾아갔다. 록펠러는 벤더빌트와 스캇을 경쟁시켜 등유 운송비를 낮추고 많은 돈을 벌게 되었다. 록펠러는 다른 정유사까지 사들여, 마침내 미국 최초의 석유 독점 기업을 만들었다. 벤더빌트와 스캇은 록펠러의 엄청난 성장에 위협을 느꼈고, 둘은 담합을 해서 등유 운송비를 올리려고 했다. 하지만 록펠러는 자신이 직접 대규모 송유관을 건설해서, 세계 최초로 파이프를 통한 기름 수송을 했다. 그동안 석유 운송으로 많은 돈을 벌던 대부분의 철도회사의 주식은 순식간에 폭락했다. 록펠러의 송유관 때문에 약 360개의 철도회사가 파산했고, 주식시장은 열흘간 정지되었다. 경제는 악화되었고, 수많은 실직자가 생겼다. 이것이 바로 1873년에 발생한 미국 대공황사태이다. 철도회사가 파산하면서 다른 회사들도 줄줄이 도산했다. 록펠러는 이렇게 파산한 회사들 중 가치가 있다 싶은 회사들을 헐값에 사들였다. 결국 록펠러는 전세계 약 90%의 등유를 통제하고 공급하는 세계 최고의 등유회사가 된다. 이 당시 그의 순자산만 1억 5천만달러였다고 하니, 록펠러는 엄청난 부를 손에 거머쥐게 된 것이다. 스캇은 겨우 회사를 지켰지만, 사업의 다각화의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그래서 탐 스캇과 그의 제자 앤드류 카네기는 록펠러의 송유관이 없던 지역에서 정유업을 시작하기로 한다. 마침 탐 스캇이 소유한 철도회사가 있는 지역에만 록펠러의 송유관이 없었기 때문에, 이 아이디어는 스캇의 사업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 같았다. 하지만 이 소식을 들은 록펠러는 스캇쪽 철도로 운송되는 기름을 생산하던 피츠버그 정제소를 폐쇄한다. 록펠러가 피츠버그 정제소를 폐쇄하면서 스캇은 더이상 록펠러의 화물을 수송할 수 없게 되었다. 막대한 피해를 입은 탐 스캇은 정유업 사업에 대한 계획을 접는 것으로 모자라, 수많은 노동자들을 해고해야만 했다. 하지만 해고 노동자들이 불만을 표출하며 스캇의 열차창고에 불을 질렀다. 스캇이 소유하고 있던 약 1200대의 열차가 모두 불에 탔고, 스캇의 회사는 파산했다. 1881년 탐 스캇이 사망하고, 그의 제자였던 카네기는 스승의 복수를 다짐한다.


카네기는 모두가 알고 있듯이 강철회사를 운영하고 있었다. 하지만 철도산업이 박살나면서 강철사업도 위기를 맞는다. 당시 강철이 주로 쓰이던 곳이 철도였기 때문에, 카네기는 돌파구를 모색해야만 했다. 마침 미국의 경제불황으로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이 모두 뉴욕이나 시카고 등 대도시로 몰리고 있었다. 당연히 수많은 인파들을 수용하기 위해 대도시에는 많은 건물이 들어서야만 했다. 카네기는 건물을 짓기 위한 구조용 강철을 공급하기 시작했다. 카네기의 철강을 이용한 건물들이 뉴욕과 시카고 등 대도시에 들어섰다. 약 10만채가 넘는 빌딩들이 시카고에만 건설되었다. 카네기는 미국 최대의 철강왕이 되었다.  그는 1892년에 카네기 철강회사(Carnegie Steel Company)라는 트러스트를 만들었다. 카네기 철강회사는 미국 철강 생산의 1/4을 담당할 정도로 엄청난 규모의 회사였다. 카네기는 1901년에 카네기 철강회사를 JP모건에게 넘긴다. 결국 카네기는 스승의 복수는 하지 못한 셈이다. 록펠러의 스탠다드오일 트러스트는 카네기가 사업을 JP모건에게 넘길 때 까지 석유업계를 지배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JP모건과 앨버트 H. 게리는 카네기 철강회사와 여러 회사들을 합병해서 US스틸을 설립했다. US스틸은 1902년에 철강업 점유율이 65%에 달할 정도로 엄청난 회사였다. 세계 최대의 제철회사가 된 US스틸은 이후 경쟁사 벤들리헴 스틸의 성장으로 점유율이 50%로 떨어지기도 했다. 하지만 제품의 다양화와 사업의 다각화로 미국 최대 기업의 자리를 계속 유지했다. 1960년대에 금융업, 시멘트제조업, 부동산업, 플라스틱 제조업 등의 분야에도 진출했다. 1970년대에 경제가 주춤하자 철강사업 또한 불황이 시작되었다. US 스틸은 이에 구조조정을 실시해 불황 탈출을 모색했다. 1980년대에는 오일회사도 인수해 에너지 사업에도 투자했다. 1980년대 경제불황으로 철강사업의 성장이 주춤하던 때, US 스틸은 에너지사업에서 대규모 흑자를 만들어냈다. 그 외에도 사업의 전신이 되었던 철도운송업을 위한 자회사로 트랜스스타(Transstar Inc)를 소유하고 있다. US스틸은 2000년대에 들어서 에너지사업과 철강업을 완전 분리하고, 철강사업이 집중했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US스틸은 아직까지 세계 최대 철강업체로 군림하고 있다. 현재 본사는 미국 피츠버그에 위치해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