닛산은 일본의 유명 자동차 회사이다. 세계적으로도 유명해서 연간 300대 이상의 자동차를 수출하고 있다. 일본 최초로 자동차를 만든 닛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닛산자동차의 모체는 1911년에 설립된 카이신샤 자동차공업이다. 카이신샤 자동차회사가 1931년 닛산재벌 산하로 들어간 뒤, 1932년에 일본의 첫 국산자동차인 닷산을 만들었다. 1933년에 일본 요코하마에서 닛산자동차로 회사명을 변경했다. 

닛산재벌의 닛산은 일본어로 ‘일본산업을 줄인 말로, 아이카와 요시스케가 설립했다. 아이카와 요시스케는 이노우에 가오루의 외손자인데, 이노우에 가오루는 이토 히로부미의 절친으로 유명하다. 그는 청일전쟁 기간동안 조선공사로 일한 경력도 있다. 부임해 있는 동안, 이노우에 가오루는 조선의 보호국화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했다. 그 외에도 이노우에 가오루의 조선에 대한 악행은 여러모로 악명이 높다. 

여하간 다시 닛산자동차 설명으로 돌아가자면, 닛산자동차는 현재 도요타, 혼다와 함께 일본 3대 자동차회사로 손꼽힌다. 특이하게도 일본의 다른 자동차 회사와는 달리, 닛산자동차는 프랑스의 르노사가 최대 주주이다. 전체 닛산자동차의 지분 중, 외국법인이 소유하고 있는 지분율이 74%가 넘는다. 현재 본사는 요코하마에 있으며,  도쿄 증권거래소 상장기업이다. 닛산이 만든 일본 제1호 대량생산 자동차인 닷산(Datsun)은 DAT자동차에서 만든 일본 최초의 국산차인 DAT을 본 따 만든 것이다. DAT자동차의 이름은 공동창업자인 덴 켄지로(Den Kenjiro)와 아오야마 로쿠로(Aoyama Rokuro), 타케우치 메이타로(Takeuchi Meitaro)의 이름 앞글자인 D,A,T를 따서 만든 것이다. DAT자동차는 주로 군용트럭을 만들다 1931년 소형차 닷선(Datsun)을 선보였다. 그 해 닛산그룹이 DAT자동차를 인수하고, 1932년에 새로운 자회사로 닛산자동차를 출범시켰다. 닛산자동차는 설립 초기에 미국의 자동차 기술을 전수받았다. 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대부분의 공장이 연합군에게 점령당하기도 했지만 한국전쟁이 발발하면서 재기했다. 그 후 영국의 오스틴사와 제휴한 닛산은 오스틴의 기술을 바탕으로 한 자체 엔진을 개발했다. 닛산은 1959년에 블루버드를 내놓았고, 1950년대 후반에는 닷산과 소형 픽업트럭이 일본 국산차 중 처음으로 미국에 수출되었다. 블루버드와 닷산이 인기를 끌면서 닛산자동차는 일본 자동차업계의 선두주자가 되었다. 덕분에 닛산은 1959에 미국에 자회사를 설립했다. 그 후 세계시장으로 진출한 닛산은 꾸준한 기술개발을 통해 세계에서 인기를 끌었다. 닛산은 1970년대에 들어서는 세계 최대 자동차 수출업체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1973년 석유파동이 일어난 후, 전 세계적으로 소형차 수요가 급격히 늘어났다. 닛산은 이러한 흐름에 따라 소형차 생산을 늘렸고, 세계에서 좋은 반응을 얻었다. 닛산은 미국, 영국, 멕시코, 호주, 타이완,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에 공장을 세웠다. 1985년까지 닛산은 수출용 차량에 전부 닷산 브랜드를 사용했지만, 그 후 부터는 닛산(Nissan) 브랜드를 사용했다. 1989년에는 미국에서 고급차 모델인 인피니티(Infiniti)를 출시했다. 하지만 1990년대에 들어서는 경쟁업체였던 도요타가 성장하면서 닛산의 판매량이 감소했다. 닛산자동차는 연속되는 적자로 인해 재정 위기에 처하고 말았다. 결국 1999년에 닛산은 프랑스 자동차회사인 르노 사와 전략적 협력관계를 맺었다. 르노 사는 닛산자동차의 지분 43.4%를 보유하고 닛산은 르노 지분 15%를 보유하는 협약이었다. 같은 해, 최고운영책임자(COO)로 임명된 카를로스 곤(Carlos Ghosn)은 닛산회생계획(NRP)을 통한 구조조정을 실시했다. 덕분에 닛산자동차는 다시 부활할 수 있었고, 흑자경영을 이어갈 수 있었다. 부활한 닛산은 2006년에 파리모터쇼에서 디젤 SUV 캐시카이(Qashqai)를 공개했다. 닛산은 이후 지속적으로 새로운 기술개발에 투자했고, 특히 전기자동차 개발에 주력했다. 그 결과, 2009년에 닛산은 양산형 전기차 리프를 내놓았다. 

닛산자동차의 자회사로는 닛산포크리프트, 닛산마린, 오테크, 닛산상용차가 있다. 현재 미국, 영국, 캐나다, 멕시코, 인도 등의 나라에 현지 법인을 두고 있다. 닛산에서 판매하는 차종으로는 소형 큐브(Cube), 중형 알티마(Altima), 맥시마(Maxima), 무라노(Murano), 스포츠카 370Z, GT-R, 픽업트럭 프런티어(Frontier), 타이탄(Titan) 등이 있다. 닛산자동차는 2014년 미국 경제전문지 포춘이 선정한 세계 500대 기업 순위에서 61위를 차지했으며, 세계 6위 자동차회사에도 선정되었다. 현재는 자동차 부문 뿐만 아니라, 우주항공과 산업기계 부문에도 진출했다.

혼다의 정식명칭은 혼다 기연공업 주식회사로, 일본 3대 자동차 회사이다. 혼다는 자동차 뿐만 아니라 모터사이클도 전문적으로 제작하고 있다. 혼다의 모터사이클은 가장 많은 라이더들이 입문용으로 구매한다. 모터사이클에서만큼은 현재 일본 어떤 기업도 혼다를 따라갈 수 없다. 이러한 혼다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하겠다.


혼다는 일본 도쿄 미나토 구에 본사를 둔 세계적인 다국적기업이다. 도요타자동차, 닛산자동차와 함께 일본 3대 자동차회사에 속한다. 또한 세계에서는 자동차 업계에서 10위권 안에 포함되는 회사이다. 혼다는 자동차 외에도 내연엔진이나 모터사이클도 제조 및 판매하고 있다. 특히 혼다는 세계 1위의 모터사이클 제조업체이다 . 자동차, 모터사이클, 동력엔진을 주로 생산하는 회사이지만, 그밖에도 항공기, 스쿠터, 발전기, 잔디깎기, 선외기, 수펌프 등 다양한 제품을 제작하고 있다. 혼다는 전 세계 30여 개국에 진출해있다. 현재 도쿄 증권거래소와 뉴욕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기업이다. 혼다의 전 직원 수는 세계 기준으로 약 19만 350명이다. 

혼다의 첫 출발은 1946년에 혼다 소이치로가 시즈오카에 창업한 혼다기술연구소이다. 혼다 소이치로는 보조엔진이 장착된 이륜차로 첫 사업을 시작했다. 그 후 1948년, 혼다 소이치로는 회사명을 혼다기연공업주식회사로 바꾸었다. 기술개발에는 자신있었지만 경영에는 소질이 없었던 혼다 소이치로는 1949년에 전문경영인으로 후지사와 다케오를 영입했다. 혼다는 1952년 출시한 자전거용 보조엔진 커브F형이 세계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면서 성장하기 시작했다. 덕분에 1957년에 처음으로 도쿄 증권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했으며, 1959년에는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아메리칸혼다모터(American Honda Motor Inc)를 세웠다. 혼다는 마케팅보다 기술개발에 중점을 두는 회사로 지금까지도 유명하다. 덕분에 기술력을 인정받은 혼다는 1959년부터 세계 1위의 모터사이클 제조업체가 되었다. 1961년 영국 만섬에서 열렸던 TT레이스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혼다는 이후 자동차 부문에도 진출하게 된다. 1963년에 혼다 최초의 사륜차이자 스포츠카인 S500과 경트럭 T360이 출시되었다. 같은 해 벨기에에 이륜차 제조공장을 설립한 혼다는 일본 자동차업체로는 최초로 유럽 현지공장에서 제품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덕분에 1968년, 혼다의 이륜차 생산량은 연 1,000만대를 넘어서게 되었다. 1969년 혼다는 본격적으로 승용차부문에 진출한다. 1972년에 혼다는 소형차 시빅을 선보였다. 또한 같은 해, 배출가스면에서 우수한 저공해 엔진인 CVCC를 개발했다. 혼다는 1980년에 처음으로 매출 1조 엔을 달성했다. 언제나 기술력만큼은 앞서가는 혼다는, 1981년 세계 최초로 자동차용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개발했다. 또한 1982년부터 미국 현지공장에서 사륜차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미국시장의 자동차 부문에서는 아직까지 도요타를 앞지르지 못하고 있다. 특히, 혼다도 도요타처럼 아큐라(ACURA)라는 고급차 브랜드를 가지고는 있으나, 도요타 렉서스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혼다는 자동차나 모터사이클 말고도 항공기 엔진을 제작하고 있다. 처음 항공기 엔진을 제조하기 시작한 것은 1986년이다. 혼다는 이때부터 항공기 엔진을 연구, 개발하고 시험기를 제조하기 시작했다. 1980년대 중반부터는 인공지능 연구부문에도 진출해, 2000년에 아시모 로봇을 내놓았다. 혼다가 만든 아시모 로봇은 인간처럼 걷고 물체를 인식하는 최초의 인공지능 로봇이다. 2003년에는 혼다가 직접 개발한 HF-118 엔진이 장착된 소형항공기 혼다제트를 만들어 비행 실험까지 성공했다. 2004년에 혼다는 제트엔진을 개발하기 위해 제너럴 일렉트릭(GE)과 함께 법인을 설립했다. 혼다는 2006년 8월에 항공기사업 부문 자회사를 미국에 설립한다. 혼다의 자회사 혼다에어크래프트컴퍼니(Honda Aircraft Company)는 2006년 혼다제트를 발표하고 2012년부터 혼다제트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혼다는 하이브리드 차량 제작에도 신경쓰기 시작했고, 2012년에 하이브리드 차량 100만 대 판대 기록을 세웠다. 

2014년 혼다는 포춘이 선정한 세계 500대 기업에서 45위를 차지했으며, 세계 5위 자동차회사가 되었다. 혼다는 현재 자동차, 항공, 항공기엔진, 스포츠카 부문 등의 자회사를 가지고 있다. 또한 영국, 캐나다, 대만, 파키스탄 등에 해외지사를 두고 있다. 혼다자동차의 주요 모델로는 시빅, 어코드 CR-V, 크로스투어, 파일럿, 오딧세이 등이 있으며, 모터사이클의 주요 모델로는 골드윙(Gold Wing), CBR600RR 등이 있다. 혼다의 모터사이클은 다양한 모델이 출시되고 있고, 잔고장도 적은 편이라 인기가 많다.

두카티는 이탈리아 볼로냐에 본사를 두고 있는 고성능 모터사이클 제조 회사이다. 원래 두카티는 개별 회사였지만, 2012년 폭스바겐 그룹 산하의 아우디와 합병되면서 폭스바겐 그룹의 자회사가 되었다. 그동안 자동차에 대해서 알아봤다면, 이번에는 모터사이클 계의 페라리로 불리는 두카티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두카티는 창업자 안토니오 두카티의 이름에서 브랜드명을 따왔다. 두카티 회사는 처음부터 모터사이클을 만들지는 않았다. 1922년, 이탈리아 볼로냐에서 미국까지 송수신이 가능한 단파 무선 라디오 장치를 안토니오 두카티의 아들인 아드리아노 두카티가 개발했다. 그는 이 기술에 특허를 받았고, 투자자들의 투자를 받아 아버지인 안토니오 두카티와 두 형제(마르첼로 두카티, 브루노 두카티)와 함께 회사를 설립했다. 그 당시 두카티의 정식 명칭은 '특허받은 두카티의 라디오 기술 회사'라는 뜻을 가진 소시에타 사이언티피카 라디오 브레베티 두카티였다. 두카티는 창업 이후, 각종 라디오 부품을 개발해 주목을 받았다. 두카티는 이에 그치지 않고 카메라, 렌즈, 현금수납기, 정밀기계까지 사업을 확장시켰다. 덕분에 1930년대에 두카티는 볼로냐에서 가장 큰 제조사가 되었다. 두카티는 이러한 성공을 발판으로 파리, 런던, 뉴욕, 시드니에 사무소를 설립해 두카티의 기술력을 세계적으로 알렸다. 어느덧 전자기기 전문 제조회사로 성장한 두카티는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고 크게 휘청이게 된다. 1945년, 제 2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 까지 두카티는 공장이 폭격을 맞아 무너지는 등의 위기로 모든 전자기기 생산이 중단되었다. 전쟁이 끝나고 나자 두카티는 부분적으로 공장을 가동시켰다. 마침 전쟁으로 인해 이탈리아 대부분의 철도와 도로가 파괴되었고, 이에 이탈리아 국민들은 저렴하면서도 편리한 개인 교통수단을 원하고 있었다. 두카티는 이런 흐름에 맞춰 자전거에 장착할 수 있는 소형 엔진을 개발했다. 이것이 바로 모터사이클의 시작이었다. 

1946년, 두카티는 소형엔진을 장착한 자전거를 첫 출시했다. 사람의 힘으로만 움직이는 일반 자전거와 달리 힘도 덜 들고 속도도 더 빨랐던 자전거 쿠치올로는 전세계에서 큰 인기를 누렸다. 이를 계기로 두카티는 모터사이클 부문과 전자기기 제조 부문으로 사업을 나누어 운영했다. 그 중 모터사이클 부문을 담당했던 것이 '두카티 메카니카'였고, 이것이 현재 두카티 브랜드의 시작이었다. 두카티 일가는 자전거 쿠치올로의 성공으로 전쟁에서 얻었던 여러 적자를 메꿀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하지만 워낙 그 규모가 커서 두카티 일가는 결국 1948년, 회사를 이탈리아 정부에 양도했다. 

이탈리아 정부는 두카티회사를 양도받은 뒤, 1950년대 초반까지 쿠치올로를 생산했다. 쿠치올로가 큰 성과를 보이자 이탈리아 정부는 두카티를 본격적으로 모터사이클 분야에 진출시키기로 마음먹었다. 당시 이탈리아에는 '모토 구치'와 '질레라'라는 모터사이클 업체가 있었다. 이 두 업체는 모터사이클 레이싱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내서 세계적으로 유명해지고 있었다. 이 두 브랜드처럼 모터사이클 레이싱 대회에 나가는 것이 두카티를 알리는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한 이탈리아 정부는 모터사이클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내고 있던 엔진 디자이너 파비오 타글리오니를 영입했다. 1954년부터 두카티의 수석 디자이너를 맡은 파비오 타글리오니는 '데스모드로믹 밸브'라는 엔진을 만들어냈다. 이 엔진은 지금까지도 두카티 모터사이클에 사용되고 있을 정도이다. 이 엔진을 장착한 모터사이클이 각종 레이스에서 우승을 했고, 대중들은 두카티 브랜드를 '승리'의 이미지로 기억하게 되었다. 두카티는 이후 데스모드로믹 밸브 엔진을 경주용이 아닌 일반 모터사이클에 장착해 출시했고, 이 제품은 전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누렸다. 덕분에 이탈리아의 작은 모터사이클 제조업체였던 두카티는 세계적으로 이름을 알리게 되었다. 

두카티는 각종 레이스에서 계속 우승하고 있었지만, 여전히 선두는 일본 브랜드들이 장악하고 있었다. 두카티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1971년에 기존의 단기통 엔진 대신 높은 배기량의 엔진을 개발했다. 영국의 전설적인 레이서였던 폴 스마트가 두카티의 트윈 엔진이 장착된 제품을 몰고 수많은 대회에서 우승했다. 덕분에 두카티는 크게 성장했다. 두카티는 계속해서 더 높은 배기량과 출력을 지닌 모델들을 잇따라 출시했고, 이 제품들은 모두 큰 인기를 얻었다. 

하지만 인기에도 불구하고 연구개발에 너무 많은 투자를 했던 두카티는 적자를 감당할 수 없었다. 결국 1985년, 두카티는 카지바 그룹에 인수되었다. 카지바 그룹은 두카티 기술의 대부분을 전수받고 더욱 뛰어난 기술 연구에도 많은 심혈을 기울였다. 덕분에 두카티는 좋은 평가를 받는 제품들을 잇따라 출시했고, 레이스에서도 좋은 성적을 얻었다. 하지만 그럼에도 카지바 그룹의 경영 실책으로 인해 두카티는 또다시 경영난에 빠지게 되었다. 당시 미국의 할리 데이비슨과 독일의 BMW, 영국의 트라이엄프, 일본의 혼다, 가와사키 등으로 모터사이클 시장은 포화상태였고, 이들과의 경쟁에서 두카티는 밀려났다. 

결국 두카티는 1996년, 미국의 텍사스 퍼시픽 그룹으로 인수되었다. 텍사스 퍼시픽 그룹은 두카티에 전문 경영인 페데리코 미놀리를 투입시켰다. 그는 두카티가 뛰어난 성능으로 인해 많은 잠재고객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활용을 하지 못했던 점을 파악했다. 그는 2000년대 초반, 인터넷이 활발히 사용되기 시작하는 점을 이용해 온라인에 두카티닷컴이라는 사이트를 개설했다. 이 사이트를 통해 두카티와 고객, 슈퍼바이크의 팬들은 서로 소통이 가능해졌고, 두카티에 대한 고객들의 충성도는 더욱 높아졌다. 이 해에 두카티는 온라인 판매 전용모델인 MH900e를 출시했다. 이 제품은 출시하고 10일동안 2,000대의 주문이 쏟아질 정도로 큰 인기를 모았다. 제품을 직접 보지도 못하고 단지 온라인을 통해서만 볼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고객들은 두카티 브랜드에 대한 믿음으로 제품을 구매했다. 두카티는 그 후 매출이 급상승했고, 시장 점유율도 2배 이상 커졌다. 그 후 2012년에 두카티는 폭스바겐 그룹 산하의 아우디 AG의 자회사로 인수되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