닌텐도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게임회사이다. 요즘은 전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모으고 있는 핸드폰 증강현실게임 '포켓몬고'로 또 한 번 정상에 올랐다. 닌텐도는 2016년 기준 종업원수는 5,101명 뿐이지만 세계적인 회사로 인정받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소니, 세가와 더불어 세계 주요 게임 회사 중 하나인 닌텐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닌텐도는 1889년 교토에 살던 공예가 출신의 야마우치 후사지로가 세웠다. 야마우치 후사지로는 '닌텐도 곳파이'라는 화투 제조 업체를 창업했다. 닌텐도의 이름은 ‘운을 하늘에 맡긴다’란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이는 화투게임과 연관이 있다. ‘하나후다’라고 불리는 일본의 전통 화투를 생산하던 닌텐도 곳파이는 특이한 점이 있었다. 바로 화투패의 앞, 뒷면에 석회가루를 넣은 것이었다. 석회가루를 넣은 화투패는 바닥에 내려칠 때 '착'하는 경쾌한 소리가 났기 때문에 사람들이 많이 찾았다. 이 화투는 현재까지도 판매하고 있다.
1949년에 야마우치 후사지로가 사망한 뒤, 가업은 손자인 야마우치 히로시가 물려받았다. 닌텐도는 1902년 일본 최초로 서양의 트럼프 카드를 제작했는데, 야마우치 히로시가 사장으로 취임한 후, 1953년에 세계 최초로 플라스틱 재질의 트럼프를 생산했다. 히로시는 이에 그치지 않고, 1959년 디즈니의 캐릭터가 들어간 트럼프를 출시하였다. 미국 디즈니와의 협업으로 탄생한 이 트럼프는 전세계적으로 대대적인 인기를 모았다. 덕분에 히로시는 일본을 넘어 세계 최고의 카드 생산사를 목표로 하기 시작했다. 그는 견학차 갔었던 세계 최대의 카드회사 US Playing Card가 상상했던 것만큼 큰 회사가 아님에 충격을 받고, 카드만으로는 모자라다고 생각했다.
그에 닌텐도는 1962년 주식을 상장하고, 1963년에는 현재의 ‘닌텐도 주식회사’로 이름을 변경했다. 이후 사업다각화를 시도하여 운수업, 러브호텔, 인스턴트 식품산업 등 다양한 분야의 사업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야마우치 히로시는 그제서야 초심으로 돌아가기로 마음먹고 아날로그 장난감 개발에 몰두한다. 닌텐도는 1966년에 만능팔 장난감인 울트라 핸드 출시와 함께 장난감 산업에 뛰어들었다. 야구공 피칭 머신인 ‘울트라 머신’, 잠망경같은 '울트라 스코프' 등의 울트라 시리즈와 ‘러브 테스터’ ‘코우센주’ 시리즈 같은 장난감이 큰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업계에서 군림하고 있는 대기업들을 이길 수 었다고 판단한 닌텐도는 전자 완구 개발에 뛰어들게 된다. 닌텐도는 1977년 가정용 비디오 게임기인 Color TV 6을 발매했다. 이것이 닌텐도의 전자완구의 시작이었다. 닌텐도는 1980년 처음으로 뉴욕 주에 현지법인 닌텐도오브아메리카를 설립했고, 같은 해 휴대용 게임기인 게임&와치를 출시했다. 1980년대 초, 북미게임업계는 아타리쇼크 때문에 가정용 게임기 업계 전체가 큰 손실을 입은 상태였다. 닌텐도는 이런 상황을 고려해, 게임기의 하드웨어적인 부분보다는 소프트웨어를 중시한 제품들을 출시했다. 1981년 비디오 게임 동키콩이 출시되어 판매에 성공을 거두었고, 1983년에는 닌텐도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인 패밀리 컴퓨터(약칭 패미컴)를 발매했다. 1985년에는 그 유명한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가 출시되어 전세계적으로 엄청난 인기를 얻었다. 닌텐도의 이러한 과감한 전략은 일본 뿐 아니라 북미시장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닌텐도 덕분에 미국의 게임시장이 다시 살아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것이다. 닌텐도는 여세를 몰아 1989년에는 닌텐도의 2번째 휴대용 게임기인 게임보이를 출시했다. 워낙 튼튼하게 만들어진 게임보이는 반쯤 부서진 상태에서도 작동하기로 유명했다. 게임보이에는 큰 인기를 모았던 슈퍼마리오 시리즈와 테트리스 등의 게임콘텐츠가 탑재되어 인기를 더욱 높였다. 같은 해, 닌텐도는 패미컴의 후계이자 16비트 게임기인 슈퍼패미컴을 출시했다. 슈퍼패미컴은 대부분의 RPG 콘텐츠가 몰렸기 때문에 경쟁사들을 제치고 일본에서 엄청난 성공을 거둘 수 있었다. 슈퍼 패미컴의 성공에 뒤이어 가상현실 컨셉의 버추얼 보이를 출시했던 닌텐도는 첫 실패를 맛보게 된다. 화면을 사용자만 볼 수 있고 화면이 빨간색밖에 보이지 않았던 점 등의 이유로 버추얼 보이는 저조한 판매실적을 올리고 사라졌다. 닌텐도는 그 후, 1996년 가정용 게임기 ‘닌텐도 64’를 출시했다. 당시 소니의 플레이스테이션이나 세가의 세가새턴 등의 32비트 게임기들이 인기를 얻을 때였다. 닌텐도는 시장탈환을 위해 32비트보다 성능이 우수한 64비트의 CPU를 탑재한 닌텐도 64를 출시했지만 이미 소니가 장악한 게임시장을 다시 탈환하기는 어려웠다. 특히나 생산단가가 높은 ROM을 계속 고집했던 것도 실패요인으로 지목된다. 그 후, 다시 한 번 소니의 아성에 맞서 '게임큐브'를 출시했다. ROM이 아닌 DVD를 채용해 만든 게임큐브는 좋은 게임들이 많이 출시되었다. 하지만 이미 소니의 플레이스테이션2가 게임시장을 또 한 번 장악하고 있었기 때문에 닌텐도는 또 한 번 씁쓸한 패배감을 맛보게 되었다. 닌텐도는 가정용 게임기에서는 소니에게 계속 밀렸지만, 휴대용 게임기 시장만은 단연 선두였다. 게임보이가 계속 인기를 끌고 있었기 때문이다. 닌텐도가 90년대 말, 게임보이의 소프트웨어인 '포켓몬스터 적 · 녹'을 출시하면서 포켓몬스터가 시작되었다. 포켓몬스터 시리즈는 전세계적으로 엄청난 인기를 가져왔다.
포켓몬스터 시리즈로 휴대용 게임시장에서 누구도 넘보기 어려운 위치를 장악한 닌텐도는 2004년 휴대용 게임기 ‘닌텐도 DS’를 출시했다. 듀얼스크린과 터치스크린을 장착한 NDS는 전세계적으로 1억 5000만대가 넘게 판매되었다. 게임기 판매 성공이 어렵다는 한국시장에서도 큰 인기를 누렸으니, NDS의 인기가 어느정도였는지 알 만하다. 닌텐도는 이 기세를 몰아서 2006년 가정용 게임기 위(Wii)를 출시했다. 체감형 게임기를 모토로 한 Wii는 모션센서를 장착한 것이 특징이었다. 피트니스에 초점을 둔 소프트웨어들을 출시한 닌텐도 Wii는 기존의 '게임기는 건강에 해롭다'는 인식을 바꾸어놓았다. 닌텐도 Wii또한 NDS 못지 않은 인기를 누렸는데, 총 기기 판매량이 1억이 넘었다. 하지만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되면서, 휴대용 게임기 산업이 침체되기 시작했다. 닌텐도는 이에 모바일 게임 시장에 진출했다. 닌텐도에서 출시한 슈퍼마리오 런과 포켓몬고는 전세계적으로 대인기를 끌었고, 닌텐도의 주가는 폭등했다. 계속 발전하는 닌텐도의 게임이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지 매우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