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커피산업은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이젠 식후 커피는 익숙한 문화가 되었고, 학생들도 카페에서 모임을 가진다. 우리나라에는 수많은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이 있다. 이 중, 가장 인기가 많은 카페는 아마 스타벅스일 것이다. 한국 소비자원에서 조사한 결과에서 직원 서비스나 커피 맛 부문에서 스타벅스가 다른 카페 브랜드를 제치고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지금부터 전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커피 전문점인 '스타벅스(Starbucks)'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스타벅스는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매장을 가지고 있는 세계적인 커피 전문점이다. 스타벅스의 시작은 미국 시애틀에서 커피 애호가였던 영어 교사 제리 볼드윈(Jerry Baldwin), 역사 교사 제브 시글(Zev Siegl), 작가 고든 바우커(Gordon Bowker)가 열었다. 대학 동창이었던 3명은 당시 미국에서 유행하던 로부스터(Robusta) 원두 대신 아라비카(Arabica)원두를 즐겨 마셨다. 쓴 맛이 강한 로부스터에 비해 아라비카 원두는 부드럽고 향기가 뛰어난 것이 특징이었다. 하지만 북미 쪽에는 아라비카 원두를 판매하는 곳이 많지 않았기에, 셋은 직접 아라비가 원두를 판매하기로 했다. 그들은 1971년 미국 워싱턴 주 시애틀에서 '스타벅스 커피, 티 & 스파이스(Starbucks Coffee, Tea & Spice)'라는 작은 커피원두 매장을 열었다. 스타벅스라는 이름은 미국 작가 허먼 멜빌(Herman Melvil)의 소설 '모비딕(Moby Dick)'에 나오는 포경선(고래잡이 배)의 일등 항해사의 이름인 스타벅(Starbuck)에 S를 붙여 만들었다. 그들은 테리 헤클러가 만든 로고를 자신들의 매장 로고로 사용했는데, 이 로고는 신화에 나오는 세이렌을 모티브로 했다. 세이렌은 아름다운 노래로 뱃사람들을 유혹해서 배를 난파시키는 반인반조였는데, 스타벅스 또한 커피로 사람들을 유혹하겠다는 뜻을 담아 로고로 사용했다. 처음 오픈한 스타벅스 매장은 커피원두와 커피기계 등을 판매했다. 그들은 창업 초기에는 원두 공급업체인 '피츠 커피&티(Peet's Coffee&Tea)'에서 원두를 공급받았다. 하지만 지역 일간지인 시애틀 타임스(Seattle Times)에서 스타벅스 커피, 티 앤 스파이스에 대한 기사를 실었고, 판매량이 급증했다. 이에 스타벅스 커피, 티 앤 스파이스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직접 커피 재배업자들로부터 원두를 사들였다. 스타벅스 커피, 티 앤 스파이스의 매출은 나날이 증가했고, 1980년대까지 시애틀 인근 지역까지 매장을 연이어 열었다.
스타벅스 커피, 티 앤 스파이스가 전환점을 맞게 된 것은 1982년, 마케팅 담당자로 '하워드 슐츠(Howard Schultz)'가 합류한 후 부터다. 하워드 슐츠는 스웨덴의 커피 메이커 제조회사인 해마플라스트의 미국 부사장을 맡고 있었다. 슐츠는 해마플라스트의 주요 고객사였던 스타벅스 커피, 티 앤 스파이스를 방문했는데, 그 때 스타벅스 설립자들의 열정에 반하게 되었다. 이후 슐츠는 스타벅스 커피, 티 앤 스파이스에 합류하고 싶다는 의지를 계속해서 표명했고, 마침내 1982년에 스타벅스 커피, 티 앤 스파이스에 합류하게 되었다. 하워드 슐츠는 스타벅스에 합류한 이후 이탈리아 밀라노에 출장을 가게 되었는데, 그 때 이탈리아에서 강한 인상을 받게 되었다. 이탈리아는 커피문화가 매우 발달되어 있는 나라이다. 슐츠는 이탈리아의 에스프레소 바에서 커피를 즐기며 휴식을 취하는 이탈리아인들을 보고, 이탈리아의 커피문화를 미국에 적용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당시 미국에서 커피는 집에서 직접 만들어 마시는 음료라는 인식이 강했다. 슐츠는 제리 볼드윈과 고든 바우커 등에게 스타벅스 커피, 티 앤 스파이스 매장 안에 에스프레소 바를 설치해서, 매장에서 바로 커피를 내려 판매하자고 제안했다. 시범적으로 운영한 에스프레소 바는 매우 성공적이었지만, 설립자들의 취지와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결국 에스프레소 바 설치는 무산되었다. 결국 슐츠는 자신의 아이디어를 실현하기 위해서 스타벅스 커피, 티 앤 스파이스를 떠나게 되었다.
하워드 슐츠는 스타벅스 커피, 티 앤 스파이스를 떠나 1985년에 시애틀에 '일 지오날레 커피 컴퍼니(il Giornale Coffee Company)'를 설립했다. 일 지오날레 커피 컴퍼니에서 오픈한 첫 커피음료매장인 '일 지오날레'는 시카고에 생겼는데, 그 매장의 모습과 분위기는 이탈리아 에스프레소 바와 매우 흡사했다. 하워드 슐츠는 원두를 스타벅스 커피, 티 앤 스파이스에서 공급받았는데, 부드러운 아라비카 원두로 만든 커피를 마시면서 휴식을 취한다는 슐츠의 아이디어는 큰 인기를 모았다. 일 지오날레 1호 매장은 오픈 6개월만에 하루 천 명이 넘는 고객이 찾는 가게가 되었다. 하워드 슐츠는 이러한 성공을 바탕으로 일 지오날레 3호매장까지 열었고, 이후 스타벅스 커피, 티 앤 스파이스까지 인수하게 되었다. 마침 스타벅스의 경영진들이 스타벅스 커피, 티 앤 스파이스를 팔려고 하고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슐츠는 스타벅스 커피, 티 앤 스파이스를 인수한 뒤, 일 지오날레 커피 컴퍼니에 합병시키고 회사명을 '스타벅스 사(Starbucks Corporation)'으로 변경했다. 기존의 일 지오날레 매장들도 모두 '스타벅스(Starbucks)'로 이름이 바뀌면서, 지금의 스타벅스가 되었다. 하워드 슐츠는 모든 매장의 커피 맛이 균일해야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고, 이에 모든 스타벅스 매장은 '직영'으로 운영되고 있다.
스타벅스는 1992년에 북미대륙에만 165개의 매장이 있는 대형 프랜차이즈 업체로 성장했다. 스타벅스는 1994년에 '펩시코(PepsiCo.Inc)'와 합작해서 '북미 커피 파트너십(North American Partnership)'을 설립했는데, 이를 통해 스타벅스 병음료와 캔음료가 만들어졌다. 1995년에는 처음 얼음을 갈아만든 음료인 '프라푸치노(Frappuccino)'를 선보였고, 큰 인기를 끌었다. 다음 해에는 처음으로 북미 대륙을 넘어 일본, 싱가포르에 매장을 오픈했다. 1997년까지 스타벅스의 전 세계 매장은 1,000개가 넘었다. 스타벅스는 이후 중국, 쿠웨이트, 레바논, 한국, 영국, 스위스 등에도 매장을 개설하면서 2002년 기준으로 전 세계 매장이 5,000개가 넘었다. 현재는 64개국에서 총 23,000개가 넘는 매장이 운영 중이다. 한국에만 약 1,000개의 매장이 있다고 하니, 스타벅스가 얼마나 큰 사랑을 받고 있는지 알 수 있다. 현재 본사는 워싱턴 주 시애틀에 위치하고 있고, 아직까지 하워드 슐츠가 회장직을 맡고 있다. 한국에는 신세계와 라이센스를 체결해서 스타벅스 본사와 신세계가 지분을 절반씩 가지고 있는 '스타벅스 코리아'를 설립했다.